•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과 네모 이미지의 구도와 의미 고찰 - 퇴계의 「천명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Meaning of Circle and Square Imag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8
21P 미리보기
원과 네모 이미지의 구도와 의미 고찰 - 퇴계의 「천명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60호 / 267 ~ 287페이지
    · 저자명 : 한승일

    초록

    원시시대부터 도형은 인간 각자의 쓰임대로 사물과 형태에 의미를 부여하여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다. 이황은 「천명도」에서 원과 네모를 통해 사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여기에 사용된 원과 네모 이미지는 고대로부터 현재의 일상에도 쉽게 볼 수 있는 형태이다. 하늘이자 마음(생각)을 상징하는 원과 땅이자 몸을 상징하는 네모를 짝으로 하여 그린 형태를 통해 사람의 진정한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황은 우주가 아닌 한 사람의 자리에서 자신의 존재 근원인 우주와의 만남을 생각하고, 광활한 우주 속에서 사람이란 어떤 존재인지 또 어떠한 존재로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찾으려는 의도로 「천명도」를 수정하였다. 이황에게 동그라미는 하늘이자 천명, 그리고 마음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네모는 방(方)이라고 해서 모서리가 있다. 땅을 나타내기도 하고 몸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의 모양인 ‘인형(人形)’은 ‘천원(天圓)’과 ‘지방(地方)’과 서로 분리되지 않고 중첩되어 그려져 있다. 즉, 존재론적으로 사람[人]은 땅[地] 위에 서 있는 하늘[天]이라는 이해의 방식을 보여준다. 이렇게 하늘과 땅이 한 짝을 이루듯, 사람의 몸과 마음이 한 짝을 이루듯, 사람은 엄마와 아빠가 한 짝을 이뤘다. 사람은 이러한 부모의 사랑을 받고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하는 존재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primitive times, figures have been symbolically expressed by giving meaning to objects and shapes according to each person's use. Lee Hwang tri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people through circles and squares in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圖]」. The circle and square images used here are forms that can be easily seen in daily lif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 circle symbolizing the sky and mind(thoughts) and the square symbolizing the earth and body were paired to represent the true nature of a person. Lee Hwang thought of his encounter with the universe, the source of his existence, in the place of a person, not in the universe, and with the intention of finding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existence a person is and what kind of existence he should live as in the vast universe,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圖]」 was amended. To Lee Hwang, the circle can be seen as expressing the sky,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mind at the same time. Also, a square represents the land and also represents the body. In addition, ‘the shape of a person[人形]’ is drawn overlapping with ‘heaven-circle[天圓]’ and ‘land-square[地方]’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ontologically, it shows a way of understanding that a person[人] is a sky[天] standing on top of the earth[地]. In this way, just as the sky and the earth form a pair, and a person's body and mind form a pair, a person's mother and father form a pair. Human beings are loving beings who are born out of love and are loved by their par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