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누벨바그 영화에서 음악의 역할: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를 중심으로 (The Function of Film Music in Nouvelle Vague Fil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누벨바그 영화에서 음악의 역할: 고다르의 &lt;네 멋대로 해라&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화음악논집 / 18권 / 2호 / 65 ~ 91페이지
    · 저자명 : 최유리

    초록

    1958년에서 1962년에 걸쳐 누벨바그 운동은 영화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미학적 혁신을 가져왔다. 프랑스의 누벨바그 감독들은 잘 만들어진 기존 영화를 비판하고 거부했다. 그들은 감독 자신의 개성과 탁월한 미학적 기술을 갖춘 영화를 제작했다.
    이 누벨바그 영화들 중에서도 장 뤽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는 현대 영화가 바로 이 영화로부터 시작한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누벨바그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이 영화의 가장 혁신적인 점은 저돌적인 속도감, 냉정한 초연함, 그리고 탄탄한 기존 관습의 거부에서 나타난다.
    이 논문은 고다르의 새로운 기법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그것이 영화음악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다르는 점프 컷 기법을 영화 전체에 걸쳐 많은 장면에서 사용했다. 그는 점프 컷을 계속적인 장면이나 대화 속에서 사용함으로써 베르톨트 브레이트의 소격효과 이론을 상기시켰다. 나아가 고다르는 점프 컷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한 점, 소격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사운드를 사용하는 것, 할리우드와 차별되는 고전음악의 사용 등은 기존의 관습을 벗어난 음악의 사용 예이다. 이는 기존 영화 관습에서 벗어나려는 고다르의 작품의 주제적 맥락과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은 혁신을 통해 영화의 시각적 내러티브에 치중된 음악이 아닌 시각적인 것과 청각적인 것의 결합이라는 확장된 차원에서의 영화음악의 장을 열었다.

    영어초록

    Nouvelle Vague (the French New Wave) from 1958 to 1962 beca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esthetic movements in the movie history. They criticized and rejected the well-made traditional French cinema. They insisted that directors should produce movies of their own personal style and outstanding aesthetic skills.
    Jean Luc Godard’s film of “A Bout de Souffle (Breathless)” took such a crucial position from films of the French New Wave that people say modern movies begin with it. What is most revolutionary about this movie is its headlong pacing, its cool detachment and its dismissal of well-made tradi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odard’s new techniques on his movie “Breathless” and seeks some interactions between his new techniques and the music as well as the sound effect in the film.
    Especially, Godard used the technique of “jump cuts” in many scene and throughout the film. He used jump cuts within continuous movement or dialogue in order to recall the theory of distancing effect (Verfremdungseffekt) of Bertolt Brecht. Furthermore, he applies same ways of jump cuts within the underscore, the source music and the sound effect with no attempt made to make them mat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