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지훈의「완화삼」과 박목월의「나그네」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The study of mutual text between poems「Wanhwasam」, by Ji-Hoon and「Naguenae」, by Mok-Wo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조지훈의「완화삼」과 박목월의「나그네」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42호 / 133 ~ 160페이지
    · 저자명 : 고형진

    초록

    지훈의「완화삼」과 목월의「나그네」는 우리의 현대시사에서 매우 이채로운 두 작품으로 꼽힌다. 지훈의「완화삼」엔 목월이 깊이 드리워져 있으며, 목월의「나그네」엔 지훈의「완화삼」이 깊이 드리워져 있다. 두 작품은 서로 간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러면서도 각자의 개성을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두 작품의 긴밀한 상관관계를 감안하여 이 글에선 두 작품을 상호텍스트의 관점에서 살펴봐 두 작품의 의미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지훈의「완화삼」은 한시, 시조, 전통 서정시 등 우리 전통 시가의 표현기법을 수용하면서 한국적인 멋과 풍류를 미학적 이미지로 그리고 있다. 이 시는 지훈이 선비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뚜렷이 드러내며 나그네의 심정을 밝히고, 그런 마음을 목월에게 전하는 작품이다. 한편 이 시는 경주에서 목월을 만나 그와 함께 보낸 체험과 이 때 목월에게 받은 시가 창작배경을 이룬다.「완화삼」의 ‘나그네’ 이미지는 지훈의 경주나들이에서 촉발된 것이고, 나그네 화자가 걸어가는 ‘칠백리’의 물길은 낙동강의 길이와 일치한다. 이 시가 경주에서 쓰여 진 것이라면, 이 시의 ‘강마을’은 경주의 ‘건천’이라는 마을 체험과 관련되어 있고, 또 당시 경주에서 목월로부터 듣고 보았던 비둘기 울음소리와 경주에서 목월과 함께 보았던 복사꽃의 인상이「완화삼」의 ‘구슬피 우는 산새’ 와 ‘꽃’ 이미지를 촉발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완화삼」엔 이처럼 목월과의 인연과 추억이 깊이 스며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훈은 경주체험에서 촉발된 이미지를 한국의 멋과 아름다움으로 승화시켜 자기 개성과 정체성을 뚜렷이 드러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 시의 의미와 성격은 작품의 부제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목월의「나그네」엔 지훈의「완화삼」에 쓰인 시어들이 많이 나온다. ‘나그네’, ‘술’, ‘저녁놀’, ‘가다’, ‘익다’ 등의 말이 모두「완화삼」에서 구사된 것들이며, 이외에 ‘강나루’, ‘길’, ‘달’, ‘삼백리’ 등은「완화삼」의 시어들이 변형된 말들이다. 또「나그네」의 시적 정황도「완화삼」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이처럼「나그네」는「완화삼」과 매우 깊은 친연 성을 지니지만, 시의 정서와 의미는 크게 다르다.
    그것은「나그네」가「완화삼」의 시어를 수용하면서도 한편으로 누락시킨 말과 새로운 발명시어들, 그리고 변형 어들의 독특한 시적 활용에서 비롯된다.「완화삼」의 핵심 시어 중「나그네」에 나오지 않는 대표적인 시어는 ‘꽃’이다. 이 말이 빠지면서 나그네 화자의 감정노출과 풍류가 현저하게 탈색되며, 이와 접맥되어 있는 감정어들이 「나그네」에선 모두 누락된다. 이리하여「나그네」엔「완화삼」의 정체성이 현저하게 사리지게 되고, 그 자리에 목월의 발명어들이 들어가면서 새로운 시로 거듭난다. 목월의 발명어들은「나그네」에서 새로운 역할을 한다. ‘밀밭’, ‘건너’, ‘강나루’등은 소리결의 조성에 기여하며, ‘외줄기’, ‘삼백리’. ‘남도’, ‘길은’ 등은 각운과 율격의 조성에 기여한다.「나그네」는 이러한 운율의 조성에다 독자적 의미생성이 보태져서 독창성을 완결시킨다.「나그네」는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란 비유어를 통해 마치 무중력 상태에서 물체가 이동하듯 유유자적하게 흘러가는 나그네의 모습을 감각적으로 전해주며, 극도의 감정절제를 통해 나그네의 길 떠남을 풍경화로 보여준다. 그리하여 독자들에게 그 풍경에서 촉발되는 나그네의 평화롭고 외로운 마음을 조용히 음미하게 해 준다. 이 시는「완화삼」에서 제시된 나그네의 이미지를 새로운 미적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보다 보편적인 이미지로 승화시켜 놓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의 의미와 성격은 제목에 그대로 함축되어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nalyzes poems「Wanhwasam」by Ji-Hoon, and「Naguenae」by Mok-Wol, in terms of intertextuality.「Wanhwasam」by Ji-Hoon, adapts expressive technique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and depicts Korean taste and arts. This poem is an workpiece which unveils the feelings of Naguenae in the figure of Korean scholar and delivers that sentiment to Mok-Wol. Meanwhile, the original background of this poem is the actual experience Ji-Hoon had in Kyungjoo with Mok-Wol. The image of Naguenae in「Wanhwasam」is based on Ji-Hoon's excursion to Kyungjoo, Waterway of 'sevenhundred li' is the length of Nakdong river, and 'river town' is related to 'Gunchun', a town in Kyungjoo. The cry of pigeon Ji-Hoon heard and experienced with Mok-Wol created the image of 'crying bird' in「Wanhwasam」, and the peachblossom created the image of flower which appears in the poem. Likewise, Mok-Wol permeates deeply in「Wanhwasam」, but Ji-Hoon shows his individuality rather distinctly by using the images created from his experience at Kyungjoo to give life to Korean arts and beauty. Furthermore, such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m is shown in the title.
    In「Naguenae」by Mok-Wol, appear a lot of poetic words used in「Wanhwasam」by Ji-Hoon「Naguenae」adapts the poetic words of those from「Wanhwasam」in one sense, but on the other side it does not. 'Flower', the core poetic words in「Wanhwasam」, is the typical example of poetic words that are not shown in「Naguenae」. As this word is taken away, the disclosure of Naguenae's emotions and joy are remarkably vanished. Instead the original words of Mok-Wol are written in the place of 'flower', and the poem turns into a new of poem. This poem change「Wanhwasam」by reform image of Naguen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