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 수용된 시각적 변신모티브 (The Visual Metamorphosis Motif accompanied in the David Cronenbug's Film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1.11
12P 미리보기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 수용된 시각적 변신모티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4권 / 4호 / 35 ~ 46페이지
    · 저자명 : 정규호

    초록

    본 연구는 크로넨버그가 자신의 영화 속에서 관객들에게 공포․회피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 변신의 소재를 어떻게 시각화하였으며 그 변신이 갖는 함의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영화에 수용된 변신모티브의 개념은 ‘비현실적인 사건으로 일어나는 외형의 변화 원인, 과정과 결과를 시각적으로 재현하여 보여줌으로써 변신주체가 이전의 주체를 버리고 새로운 주체로 탄생하게 되는 것’을 서술한 것이다.
    크로넨버그의 영화 <비디오드롬> <플라이> <네이키드 런치>에서 주로 등장하는 변형․변신체들의 괴기스러운 형상은 무생물을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로 묘사함으로써 생명체 또는 생체기관처럼 작동하는 사물이 된다. 즉 인간에 의해 재창조된 사물들이 영화에서 인간과 맺는 관계는 대등한 생물체 또는 유기체로서 동질의 쾌락과 고통을 수반하고 병을 앓기도 하고 죽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 속에서 인간 또한 유기체로서 사물화 된다.
    자연의 질서에 조응하면서 삶을 영위하는 생명체인 인간에 의해 구성된 현대사회는 영화 안에서 비현실적 환상과 냉혹한 현실로 구성된 이중의 복합체로 그려진다. 이때 현대사회의 비현실적 환상은 생명체의 병리적 증세와도 연결된다. 그래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 수용된 변신모티브가 그려내는 함의는 고통이 수반된 쾌락과 죽음을 동반하는 삶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속의 인물들은 목적의식 없이 생존을 위해 또는 쾌락을 위해 비틀거리며 질주하는 부조리한 삶을 사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이들을 통해 치유될 수 없는 사회의 병리적 증세에 시달리는 암울한 미래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treatise seeks to determine of entailments of the visual metamorphosismotif that exists in David Cronenburg's films and which strike horror and disgust into the spectator's heart. The meaning of the metamorphosis-motif that accompanies the films is narrated by one person to change another by depict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change or transformation processes including causes and in-between effects (morphing) and results(morph) in which unreal incidents occur.
    Mainly, the metamorphic creatures and objects such as those in Videodrome, The Fly, and Naked Lunch, which are three of Cronenburg's most famous films, have grotesque or disgusting shapes and live as an organic- body. That is to say, in the films, humans and creatures similar to them enter into a relation on equal terms as a living body or as an organic-body. Thus, both of them are created objects of the same qualities that involve sensual pleasure and physical pain, followed by sickness and/or death.
    In the films, the modern society constructed by living humans following the laws of nature is drawn as a dual structure that is composed by severe real and unreal illusions. The unrealistic illusions of the modern society connect to the pathology of symptoms, as in a diseased organism.
    Therefore, the metamorphosis motif in Cronenburg's films has undertones of pleasure as well as suffering and of the living experiencing death. Thus, these suggest a gloomy future for the modern society with suffering and the incurable pathology of symptoms through figures of the people who are living an irrational life with aimless desires for existence or pleas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