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시 아마네(西周)의 과학개념 - ‘學’, ‘物理’, ‘格物’을 중심으로 - (Nishi Amane’s Concept of Science in Transl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09
22P 미리보기
니시 아마네(西周)의 과학개념 - ‘學’, ‘物理’, ‘格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3호 / 213 ~ 234페이지
    · 저자명 : 김성근

    초록

    본 논문은 일본 최초의 근대철학자로 일컬어지는 니시 아마네의 과학개념을 ‘學’, ‘物理’, ‘格物’ 등의 어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니시는 오늘날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은 근대학술어들을 번역했을 뿐만 아니라, 서구 학문의 수용을 통해 ‘學域’, 즉 ‘학문의 영역’을 새롭게 구분한 인물로 알려진다. 본고에서 다루는 ‘學’, ‘物理’, ‘格物’ 등은 니시의 과학사상 안에서도 중요한 어휘들로, 원래 전통적 어휘들이었던 그것들이 어떠한 개념적 변용을 통해 근대적 학문을 가리키는 어휘로 탈바꿈했는가는 일본에서의 서구학문의 이식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science는 보통 ‘과학(科學)’으로 번역된다. 그러나 니시는 이 science를 ‘科學’이 아니라 ‘學’이라고 번역했다. 그에게 있어서 ‘學’은 ‘術(art)’과 반드시 연계된 개념으로, ‘學術’이란 곧 오늘날의 과학기술을 의미했다. 니시는 동시에 ‘科學’이라는 어휘를 사용했지만, 그것은 ‘分科의 學’이라는 메이지 초기 ‘科學’의 일반적인 용법을 따른 것이었다. 즉, 니시에게 있어서 ‘科學’과 science는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었고, 메이지 중기에 이르러서야 ‘科學’은 science의 역어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니시는 ‘物理’를 physics의 역어로서가 아니라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계 일반의 법칙을 가리키는 어휘로 사용했다. 사실상 박물학적 개념에 가까웠던 니시의 ‘物理’ 개념은 물리현상뿐만 아니라 생명현상과 화학현상까지를 포괄했다는 점에서 서양의 physics보다는 오히려 에도시대의 전통적 ‘物理’ 개념과 유사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니시는 ‘格物’을 오늘날의 물리학을 가리키는 어휘로 사용했다. 특히 니시의 ‘格物’에 보이는 ‘物’ 개념은 주자학의 格物致知에 보이는 ‘物’ 개념으로부터 완전한 개념적 전회를 이룬 것으로, 그것은 matter의 번역어에 다름 아니었다. 즉, 니시가 ‘格物’이라는 전통 주자학의 어휘를 사용하면서도, 뉴턴 이후 체계화된 서양과학의 물질관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物’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해 때문이었다.
    니시의 ‘物理’에 보이는 ‘物’ 개념과 ‘格物’에 보이는 ‘物’ 개념에는 차이가 있다. ‘物理’의 ‘物’ 개념이 동식물을 포괄하는 자연계 일반을 가리켰다면, ‘格物’의 ‘物’은 matter로 한정되었다. 그것은 니시가 주자학의 ‘物’ 개념을 세분화시켰음을 보여준다. 즉, ‘物’에 대한 그 같은 세분화된 이해는 니시가 ‘物理’와 ‘格物’을 구분할 수 있었던 근거가 되었고, 나아가 물리학과 화학 등 여타의 자연과학 분야의 ‘學域’ 또한 구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study Nishi Amane’s scientific concepts, ‘gaku(學)’, ‘butsuri(物理)’, ‘kakubutsu(格物)’. Nishi is known not only as a translator of modern technical term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East Asia, but also as an organizer who classified area of knowledge by accepting Western knowledge.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concepts such as ‘gaku’, ‘butsuri’, ‘kakubutsu’, illustrates how Nishi could accept modern Western knowledge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Nishi translated science into ‘gaku’, and divided it from ‘jutsu(術, art)’. According to Nishi, however, ‘gaku’ is strongly related to ‘jutsu’, so their relation is similar to science and technology. Nishi used the word ‘kagaku(科學)’, which is normally translated from science today, but that meant just each fields of knowledge.
    Nishi did not use the word ‘butsuri’ in the meaning of physics. He used the word in the meaning of the law of the natural world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The object of ‘butsuri’ by Nishi indicates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phenomenon. Therefore, we can say his ‘butsuri’ is similar to traditional concept of ‘butsuri’ in Edo period rather than physics in Western science.
    ‘Kakubutsu’ was originally from Neo-confucianism, but Nishi redefined the meaning of ‘kakubutsu’. Nishi used the word ‘kakubutsu’ in the meaning of physics. Nishi translated ‘matter’ into the chinese character ‘butsu(物)’. According to Nishi, the concept of ‘butsu’ from ‘butsuri’ differs from the concept of ‘butsu’ from ‘kakubutsu’. It shows that Nishi divided the concept of ‘butsu’ from Neo-confucianism into two concepts. Division of the concepts of ‘butsu’ by Nishi was not only the key point that Nish divided ‘butsuri’ from ‘kakubutsu’, but also the starting point that he divided area of science such as physics and chemi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