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는 네 가지 차원의 마음 (Four dimensions of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sycholog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12
25P 미리보기
불교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는 네 가지 차원의 마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6호 / 127 ~ 151페이지
    · 저자명 : 윤희조

    초록

    본고는 마음을 심의식성(心意識性)이라는 네 가지 차원에서 어원을 중심으로 마음 자체에 대한 논의와 이로부터 전개되는 마음의 특징을 논의한다. 심(心)은 집적하는 기능을 한다. 심장이 머금고 운동하는 기능을 하듯이, 심은 기억을 머금고 기억을 하고 기억을 떠올리는 운동을 한다. 기억은 언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심의 어원인 ‘쌓다’와 ‘생각하다’가 연결된다. 이러한 심은 유식불교에서는 팔식의 기능, 부파불교에서는 받는 마음의 기능을 한다.
    심(心)의 소리(音)를 의미하는 의(意)는 심장이라는 토대를 바탕으로 소리와 진동수로 물들인다. 염오와 청정의 두 가지 색으로 식(識)을 물들인다. 의(意)의 ‘분위기’와 ‘화’라는 어원은 식의 구분하여 아는 기능의 전반적인 정서적 분위기를 의(意)가 결정한다는 점에서 연결된다. 식(識)은 다양하게 구분하여 아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흔적은 기억과 언어의 형태로 종자처럼, 향처럼 심(心)에 저장되고 유지되고 이숙된다. 심은 물질적 토대로서 하나이지만, 의는 염정 두 가지로 구분되고, 식은 무수하게 다양화된다.
    성(性)으로서 마음은 마음의 원래의 모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마음의 원래의 모습은 실체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고 있다. 또한 마음은 비어있고(emptiness), 열려있고(openness), 연결되어 있고(connectedness), 둘이 아닌(不二) 모습을 띄고 있다. 마음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을 불성(佛性)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마음의 기능성과 가능성은 그 자체로 청정한 것이다.
    마음은 유기체의 자기보존과 연관되어 있고, 시공간적으로 가장 넓은 범위를 감각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과거ㆍ현재ㆍ미래의 순서가 아니라 주의를 기울이는 순서대로 배열된다. 사물과 언어의 질서와는 달리 마음에서는 고정점이 없으므로 무모순성이 성립한다. 모순처럼 보일 뿐 모순이 성립하지 않는다. 또한 마음은 고정점이 없으므로 실재이면서 환이 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mind itself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which develop from it, focusing on the etymology in four dimensions of mind consciousness. The heart functions as an accumulation. Just as the heart functions as holding and movement, the mind exercises to hold remembrance; to remember and to be remembered. Memory is made in the form of language. The etymology of the mind is connected to 'accumulation' and 'thought'. Such mind functions as an eighth mind in The Yogacara School, and functions as acceptant mind in The Theravada School.
    The mano, which means the sound of the heart, is tinted with sound and vibration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heart. It tints the consciousness with two colors of defilement and purity. The etymology of 'mood' and 'anger' is connected in that the mano determines the overall emotional atmosphere of the function of knowing. The function of cognition is divided into various functions. The traces created by these functions are stored and maintained and immersed in the form of memory and language, like seeds and incense, in the heart. Mind is one of the physical foundations, but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tint, and the consciousness is greatly varied.
    As true nature, the mind focuses on the original nature of the mind. The original nature of the mind is not substantive, it is not fixed, it is moving. Also, the mind is empty, open, connected, and non-dualistc. Buddha-nature expresses the characteristic that can realize the possibility of mind. The functionality and possibility of this mind is pure in itself.
    The mind is related to the self-preservation of the organism, can sense the widest range in time and space, and is arranged in order to pay attention, not the order of physical past, present, and future. Unlike the order of things and language, there is no rigid point in the mind, so it does not hold contradiction. It seems like contradiction, but contradiction does not hold. In addition, the mind is a reality and an illusion because there is no fixed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