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네레의 죽음」에 투영된 작품 세계 탐구 (A Study on the World of Works Projected in 「Hanneles’ Death」)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12
33P 미리보기
「한네레의 죽음」에 투영된 작품 세계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9호 / 59 ~ 91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순

    초록

    방정환의 「한네레의 죽음」을 미즈타니 마사루, 오가와 미메이, 오사나이 가오루 등의 작품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한네레의 죽음」에 투영된 작품 세계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대’, ‘죽음’, ‘자살’, ‘꿈’, ‘환영’, ‘환청’, ‘그리움’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심리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독자 공감력의 극대화이다. 방정환의 「한네레의 죽음」에는 ‘학대’ 묘사가 하웁트만의 원작이나 저본인 미즈타니 마사루의 작품에 비해 현저하게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네레가 ‘환청’에 이끌려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설득력을 더하며 독자의 공감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둘째 아픔의 공유이다. 「한네레의 죽음」은 엄마에 대한 ‘그리움’에 더해 언니를 향한 ‘그리움’이 강조되었다. 언니는 한네레의 꿈속에 등장하여 자신 또한 ‘학대’와 서러움 속에서 ‘죽음’에 이르렀음을 밝히며 꿈속에서의 대화를 통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한다.
    셋째는 모성성의 강화이다. ‘언니’는 나와 동일한 아픔을 공유한 존재로서의 언니, 어머니=언니로 등치되는 또 하나의 엄마로서의 언니의 역할이 강조되고, 결말에서의 엄마와 언니가 함께 하는 꿈속 나라로의 마무리를 통해 「한네레의 죽음」이 모성성이 강화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화적 상상력의 구현이다. ‘학대’라고 하는 아픔을 공유한 언니의 등장을 통해 한네레와 언니가 처한 지옥 같은 지금 여기 우리의 현실이 부각되며, 자장가가 함께하는 동심이 살아있는 꿈속 나라라고 하는 축복의 공간 대비가 극명히 드러난다. 이러한 장치는 종교색을 덜어내면서도 ‘어린이’를 상위로 둔 동화적 상상력을 투영한 결과물로 원작이 담고 있는 세계관을 동일하게 표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As a work included in the 5th place out of 10 pieces of Jung Hwan Bang’s 『Gift of love』(1922), 「Hanneles’ Death」 is derived from its original work, German author Gerhart Hauptmann’s(1862-1946) play for children 「Hanneles Himmelfahrt」(1893).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 meaning of work world projected in Jung Hwan Bang’s 「Hanneles’ Death」 mainly around key words like ‘abuse’, ‘death’, ‘suicide’, ‘dream’, ‘apparition’, ‘auditory hallucination’, ‘yearning’, etc.,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Jung Hwan Bang’s 「Hanneles’ Death」 (『Gift of love』, 1922), Mizutani Masaru(水谷勝)’s 「ハンネレの昇天(Hanneles’ Ascension)」(『世界童話寶玉集』, 1919), Ogawa Mimei (1882-1961, 小川未明)’s 「ハンネレの昇天 (Hanneles’s Ascension)」(『五年生の世界童話』, 1961), Osanai Kaoru(小山內薰)’s 「Hanneles’ Ascension」(『近代劇五曲』, 1913).
    Then, the 4 following results could be acquired.
    First, the maximization of readers’ sympathy. It is found that abuse was described much more remarkably in Jung Hwan Bang’s 「Hanneles’ Death」 than in Hauptmann’s original work or draft, Mizutani Masaru’s work. Then, the situation where Hanneles unavoidably chose death with auditory hallucination became more persuasive, maximizing readers’ sympathy.
    Second, sharing pains. 「Hanneles’ Death」 emphasized yearning for older sister in addition to that for mother. Appearing in Hanneles’ dream, older sister revealed that she also died in abuse and sorrow, sharing mutual pains through dialogue in the dream.
    Third, the enhancement of maternity. The role of older sister is emphasized as she shares same pains with me and she is another mother in juxtaposition, mother =older sister. In conclusion, she finished journey to dream land with mother & older sister and 「Hanneles’ Death」 enhances maternity.
    Finally, the embodiment of imagination of fairy tale. As older sister who shared pains, abuse appeared, our reality similar to hell where Hanneles and older sister stayed was highlighted. Then, the contrast of blessing space called dream land where innocence of childhood was alive with lullaby was apparently exposed. It is obvious that this device uniformly represents view of the world borne by original work as result which diminishes religious hue & projects imagination of fairy tale that provides children with pri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