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네티켓과 현실공간 커뮤니케이션 규범의 대비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netiquettes and communication norms in real lif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9.09
40P 미리보기
네티켓과 현실공간 커뮤니케이션 규범의 대비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수사학 / 11호 / 323 ~ 362페이지
    · 저자명 : 박성철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and specific netiquettes for several internet services on the one hand and the face-to-face communication norms presented by A. F. von Knigge in the 敬 漀渀 18th century and the famous Conversational Maxims by P. Grice on the other. The focus of the analysis lies in which norms exist, and how these are similar or different in these two types of conversational 搀椀昀s. How the visible differences in the new media are to be ex猀 䌀ined is also a subject to be discussed here. For this purpose netiquettes for e-mailing, newsgroup posting, and on-䍬ine chatting 愀爀re s牣rutinized according to R. Jakobson’s six main functions of lang⁵昀愀 栀攀but in order to de灴漀猀琀椀ne which communication norms are main⁴䌀ined 汴椀渀最晵愀湨最晵t the 敬ong-灴漀猀琀 changes in the society and which norms had to be created or amended on the basis of the medial distinctivenesses.
    After addressing this, it is argued that certain norms for conversation in real life are more strongly demanded in internet communication because otherwise, due to the lack of nonverbal clues for interpretation of utterances and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a break in communication, or even miscommunication, would be more likely to occur than in a real conversation if on-line participants weren’t, for example, to follow conversational tips. The rule of politeness is in this respect somewhat representative. In addition to politeness, the most acknowledged values in internet communication are harmony with co-communicators, consideration of others, tolerance, orientation to the net community, efficiency of in- formation exchange.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and specific netiquettes for several internet services on the one hand and the face-to-face communication norms presented by A. F. von Knigge in the 敬 漀渀 18th century and the famous Conversational Maxims by P. Grice on the other. The focus of the analysis lies in which norms exist, and how these are similar or different in these two types of conversational 搀椀昀s. How the visible differences in the new media are to be ex猀 䌀ined is also a subject to be discussed here. For this purpose netiquettes for e-mailing, newsgroup posting, and on-䍬ine chatting 愀爀re s牣rutinized according to R. Jakobson’s six main functions of lang⁵昀愀 栀攀but in order to de灴漀猀琀椀ne which communication norms are main⁴䌀ined 汴椀渀最晵愀湨最晵t the 敬ong-灴漀猀琀 changes in the society and which norms had to be created or amended on the basis of the medial distinctivenesses.
    After addressing this, it is argued that certain norms for conversation in real life are more strongly demanded in internet communication because otherwise, due to the lack of nonverbal clues for interpretation of utterances and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a break in communication, or even miscommunication, would be more likely to occur than in a real conversation if on-line participants weren’t, for example, to follow conversational tips. The rule of politeness is in this respect somewhat representative. In addition to politeness, the most acknowledged values in internet communication are harmony with co-communicators, consideration of others, tolerance, orientation to the net community, efficiency of in- formation ex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