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자반응 ‘네, 네∼, 응∼’과 중국어 ‘嗯(응)’의 공손성 비교 연구 (Listener’s Respectful Attitude Toward the Paralinguistic Feature of the Discourse Marker [ne] and [ŋ])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2.09
22P 미리보기
청자반응 ‘네, 네∼, 응∼’과 중국어 ‘嗯(응)’의 공손성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94호 / 563 ~ 584페이지
    · 저자명 : 윤은경, 정염

    초록

    본 논문은 맞장구로서의 청자반응 표현인 ‘네’, ‘네∼’, ‘응∼’과 중국어 ‘嗯 (응)’ 간의 공손성 정도를 비교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네’, ‘네∼’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과 대화할 때 사용하고, 짧은 ‘응’은 듣는 사람과 동등하거나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한다. 그러나 비어휘적 음성형인 ‘응∼[ŋː]’으로 실현되 는 긴 ‘응∼’ 역시 윗사람과 대화할 때 추임새로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주목 할 만한 점은 중국어로 ‘嗯(응)’이라는 표현은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그 발음이 한국어 반말체에 사용되는 짧은 ‘응’과 매우 유사하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한국어 ‘네’, ‘네∼’, ‘응∼’과 중국어의 ‘嗯(응)’의 준언어적 특징에 따른 청자 태도의 공손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교수와 학생 간 대화에 출현한 위의 4가지 담화표지를 조작하여 공손성 태도를 9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는 20대부터 50대까지 연령대별로 총 40명을 섭외하였다. 그 결과 연령대별로 차이 없이 ‘네’, ‘네∼’ > ‘응∼’ > 중국어 ‘嗯(응)’ 순으로 공손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흥 미로운 점은 담화표지의 음의 길이는 공손성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것과 중국어 ‘嗯(응)’의 음성적 특징이 한국어가 모어로 사용되는 언어 환경에서 부정적 전이가 발생하게 되면 청자는 예의 바르게 응대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 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stener’s respectful attitude and the paralinguistic feature of the discourse markers [ne] and [ŋ] translated into one word “yes” in English. These backchannels can be phonetically realized with the short [ne], long [neː], and the non-lexical vocalic form [ŋː]. It is noteworthy that [ŋ](嗯) in Chinese is used to mean “yes” to anyone regardless of social status,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short [ŋ] used between speakers of equal relationship or when the listener is subordinate to the speaker. A total of 40 subjects aged 20–50 years were recruited to evaluate the listener’s respectful attitude on a 9-point Likert scale. Short and long versions of [ne], [ŋ], and the Chinese [ŋ](嗯) were manipulated in a conversation between a professor and a stud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age groups, the discourse markers were ranked in ascending order as Korean [ne], [neː] > [ŋː] > Chinese [ŋ](嗯). Further, even when the length of the syllable on the discourse marker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teness. Moreover, the occurrence of the negative transfer of Chinese [ŋ](嗯) in Korean-speaking environments was not perceived as a respectful response to the speaker’s utter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