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IMF 외환위기시 한국 펑크 록 노랫말의 분노 표출 양상 연구 –크라잉넛, 노브레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Anger in the Lyrics of Korean Punk Rock during the IMF Financial Crisis-Focusing on the works of Crying Nut and No Brai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IMF 외환위기시 한국 펑크 록 노랫말의 분노 표출 양상 연구 –크라잉넛, 노브레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70호 / 87 ~ 108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본고는 1997년 한국의 IMF 외환위기 당시 한국의 펑크 록 음악의 분노 표출 양상에 대하여 고찰한다. 1990년대 후반 대한민국은 국가적 경제위기를 맞아 IMF 체제에 돌입하여 대중들은 절망과 분노에 휩싸였고, 기존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장 르인 펑크 록이 대중으로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펑크 록의 특징은 사회를 향한 강도 높은 비판과 자기파괴로 점철된 가사, 과격 한 퍼포먼스 등이다.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창작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 결성된 1세대 펑크밴드들이 등장하면서부터이다. 이들은 언더그라운드에서 마니 아층을 형성하다가 이후 공중파 TV에 출연하며 대중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 한국 펑크 록은 1970년대 영국의 펑크 록의 기본적인 태도인 사 회비판의식, 파괴성, 과격성을 계승했다. 그러나 그것과 구분되는 내용적 특징을 갖는다. 그것은 투쟁의 의지와 연대의식이다. 소극적인 파괴행위와 자기비하로 일 관하는 영국의 펑크 록과는 달리 한국의 펑크 록 가사는 함께 연대하여 부조리에 대항할 것을 촉구한다. 사회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 투쟁의 의지를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펑크 록은 민중가요와의 유사성을 갖는다. 그러나 그 분노의 대상이 뚜렷하게 존재하는가의 여부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민중가요가 창작되던 군사정권 치하의 대중들에게는 국가권력이라는 투쟁의 대상이 명확하게 존재했다. 그러나 1990년 대 후반 대중들을 절망케 한 것은 실체가 있는 대상이 아니다. 투쟁의 의지를 불 태우며 연대한 노래 가사 속 청년들은 결국 어떠한 대안도 찾아내지 못한 채 무차 별적 난동과 집단적 자기파괴라는 결말을 맞이하고 만다. 1990년대 후반 한국 펑크 록의 가사에는 당대 젊은이들의 분노와 절망, 그리고 극복에 대한 열망이 고스란히 나타나 있다. 이전까지 온전한 형태로 존재하지 않았던 장르였던 펑크 록이 절망으로 가득했던 외환위기 상황에서 태동하고 대두되 었던 것에는 분명 당위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대중음악의 가사는 당대 대중들의 의식과 정서를 분석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보다 다채롭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xpression of anger in Korean punk rock music, a genre of pop music that was born during Korea’s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In the late 1990s, the Republic of Korea entered the IMF system in the face of a national economic crisis and the public was engulfed in despair and anger. In this atmosphere, punk rock, a genre that has rarely been created before and was not in the spotlight, has been actively created and started to gain public attention. Punk rock can be defined with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include a monotonous chord progression, which repeatedly places simple chords centered on triad, and a straight 4-bit and 8-bit progressi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include lyrics that have been dotted by strong criticism toward society and self-destruction, and radical performances. Although Sanulrim, Songolmae and others have tried it in Korea, it began to be created in earnest in the mid-1990s when the first generation punk bands, Crying Nut, No Brain and Lazybone, formed around the live music clubs near Hongik University in Mapo-gu, Seoul, emerged. They have formed a maniac in the underground, and later appeared on public television, drawing public attention. In the late 1990s, Korean punk rock inherited the basic attitude of British punk rock in the 1970s: the sense of social criticism, destructibility and radicality. However, due to Korea’s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it has unique content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s it. These are the will for struggles and the sense of solidarity. Unlike that of United Kingdom’s, Korea’s modern history has seen several large-scale struggles on the national scale. Thus, unlike the British punk rock, which expresses its anger toward society in passive acts of sabotage and self-deprecation, the lyrics of Korean punk rock demand that people band together to fight against absurdities. In terms of expressing anger toward society and talking about the will for struggles against it, Korean punk rock has similarities with the protest songs, a music genre that has existed in Korea since before. However, a crucial difference arises in whether or not the object of the anger exists distinctly. For the public under the military regime when protest songs were created, the object of the struggle, the state power, was clearly present. However, what caused the public to fall into despair in the late 1990s was not a tangible object. It is because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the economic crisis are not brought to the fore. The youth in the lyrics of the songs, who have banded together for their will for struggle, have failed to find any alternative, and ended up with indiscriminate disorder and collective self-destruction. As such, the lyrics of Korean punk rock in the late 1990s clearly show the anger, despair and the desire to overcome that the youth of the time had. There is no doubt that there exists a justification for punk rock, a genre that had never existed in its whole form, to rise and emerge in the midst of the financial crisis, which was filled with despair. Therefore, the lyrics of popular music need to be studied more diversely as they are important data for analyzing the consciousness and emotions of the public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