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 작가라는 게토를 넘어 - 장-파트리크 망셰트와 ‘네오-폴라르’로 보는 추리소설 장르의 범장르, 범매체적 변주 (Au-delà des ghettos ‘écrivains d’art’ - Jean-Patrick Manchette et le ‘néo-polar’ comme variations transgénique et transmédiatique du genre roman polici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2
34P 미리보기
예술 작가라는 게토를 넘어 - 장-파트리크 망셰트와 ‘네오-폴라르’로 보는 추리소설 장르의 범장르, 범매체적 변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학연구 / 91호 / 27 ~ 60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환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 추리소설의 하위장르인 ‘네오-폴라르néo-polar’가 1970년대에 출현하게 된 과정을 이 장르의 창시자로 인정받는 장-파트리크 망셰트Jean-Patrick Manchette에 대한 문학적, 편집, 홍보의 차원의 분석을 통해 알아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의 목표는 프랑스 추리소설이라는 모체 장르내 연속성의 결과로 네오-폴라르가 출현할 수 있었음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네오-폴라르의 출현을 통해, 우리는 추리소설이 가진 일종의 산업적 측면에 관심사를 둘 수 있었다. 이러한 산업적 측면은 갈리마르 출판사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세리 누아르Série Noire』라는 총서를 통해 추리소설 장르를 널리 알린데 기인하는 바이며, 망셰트가 (비평, 시나리오, 번역 등) 다른 활동을 겸하면서 자신의 책을 내고 홍보하는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인터뷰를 비롯한 작가의 홍보 활동은 네오-폴라르의 출현 과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나게 해주고 있다. 총서의 명성은 68혁명 이후 발생한 다양한 비판활동을 네오-폴라르라는 깃발아래 펼쳐진 작가가 보여준 표현의 확장과도 연관이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추리소설 작가가 어떤 식으로 추리소설의 표현을 다양화하기 위해 (네오-폴라르의 예를 통해 나타나는) 편집 및 상업 조건들을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려 한다.

    영어초록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étudier le processus d’émergence du ‘néo-polar’ dans les années 1970, sous-genre du roman policier en France, en nous appuyant sur l’analyse de divers aspects tels que littéraire, éditorial, promotionnel de Jean-Patrick Manchette–l’inventeur reconnu de ce sous-genre. Notre objectif est de révéler comment le néo-polar est le résultat de la sérialité au sein de son genre-mère : le roman policier en France. Ce fait que nous avons remarqué nous a permis de nous intéresser à la découverte de l’aspect pour ainsi dire industriel du roman policier dont Gallimard est le grand promoteur après la Seconde Guerre mondiale en France avec sa Série Noire–collection sous laquelle Manchette publiait ses romans et les promouvait, tout en s’adonnant en parallèle à d’autres activités (critique, scénariste, traducteur, etc.). Et plus particulièrement, ses activités promotionnelles dont certaines interviews nous donnent un critère temporale qui nous permet de retracer les étapes de l’émergence du ‘néo-polar’. Par ailleurs, le label Série Noire a permis à l’auteur de mettre au maximum l’expression de plusieurs formes de contestations sous la bannière du ‘néo-polar’, notamment celles qui résultent de l’après Mai 68, grâce au prestige de la collection. Nous voulons par cet article montrer comment un écrivain policier s’approprie des conditions éditoriales et commerciales pour diversifier les expressions du roman policier tout en faisant la promotion d’un nouveau (sous-)genre, dans le cas présent, le ‘néo-p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