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과 젠더를 넘어 돌봄의 관계를 상상하기 —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과 「사이코지만 괜찮아」를 중심으로 (Imagining Caring Relationships beyond Family and Gender : An Analysis of the K-drama Camellia Blooms and It’s Okay not to be Oka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12
41P 미리보기
가족과 젠더를 넘어 돌봄의 관계를 상상하기 —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과 「사이코지만 괜찮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4호 / 491 ~ 531페이지
    · 저자명 : 김미라, 배은경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방영된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과 「사이코지만 괜찮아」에 형상화된 돌봄의 양상을 검토하여, 가족과 젠더를 넘어선 돌봄 관계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찾아보는 것이다. 돌봄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역설적인 형태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공의 돌봄 제공이 정지되고 가족에게모든 부담이 전가되며 돌봄 격차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사회는 이 모든 돌봄위기를 오롯이 여성들의 자기착취적 초과노동으로 감당하며 미봉해 왔다. 이 글은 이제야 겨우 ‘필수노동’으로 불리기 시작한 돌봄을 제대로 자리매김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정상가족’과 돌봄 책임의 젠더화된 분배를 당연시하고 돌봄자와 돌봄노동을 비가시화해 온 기존 상상력을 넘어서보고자 하는 시도다.
    「동백꽃」과 「사괜」은 각각 어린 아이와 성인 장애인이 있는 빈곤 계층의 2인 가족 돌봄자를 주인공으로 삼아 정상가족의 틀 밖에 놓인 가난한 이들이겪는 돌봄의 위기와 돌봄자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이들이 돌봄 관계와 돌봄 공동체의 형성을 통해 위기를 타개하고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로맨스 서사에 담아 보여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사회적 돌봄 체계가 잘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는 돌봄자인 두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가족’의 이름으로 자신에게 부과된 돌봄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고투하며 고립으로 내몰리고, 이로 인한 소진으로 온전한 돌봄을 제공하기 어렵게 되어 돌봄대상자와의 관계마저 악화시킨다. 극 초반에 주인공들이 겪는 이러한 난관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정상가족’이아닌 형태로 삶을 꾸려온 사람들이 겪고 있는 혹독한 돌봄 격차의 경험들과 맞물리는데, 두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자신의 돌봄을 인정하고 지지해 주는 특정한 개인들과, 그 개인들의 초대로 진입한 돌봄 공동체 안에서의 돌봄 관계를 경험하면서 점차 이 난관을 벗어나고 새로운 삶을 위한 희망을 찾게 된다. 이 글은 두 드라마를 오늘날의 돌봄 담론이 요청하는 탈가족화·탈젠더화·탈시장화된 돌봄의 형태를 상상하고 사유할 수 있게 하는 텍스트로 읽으면서, 다른 한편 여전히 남아있는 한계들을 검토함으로써 현실 속에서 가족과 젠더를 넘어선 돌봄의 상상력이 처한 자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aspects of caring embodied in the recent dramas Camellia Blooms and It’s Okay not to be Okay in an attempt to conceptualize relationships of care that transcend family and gender. The COVID-19 pandemic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are in a paradoxical form. The care crisis and care gaps have deepened due to the cessation of the public care system, which transferred the burden of caring for others onto the “family.” In South Korea, temporary solutions to this care crisis have been reached via the self-exploitative overtime work of women. This study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properly positioning and restructuring care,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form of “essential labor,” in a sustainable manner. It also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current paradigm, which naturalizes the concept of the “normal family” and care work responsibilities through a gendered division of labor while also obscuring care work and care workers.
    Camellia Blooms and It’s Okay not to be Okay both feature main characters who are caregivers belonging to lower class families of two, each a child and a single mother, and a younger brother and older brother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se main characters, the two dramas demonstrates the crisis of care experienced by poor individuals who exist outside of the frame of the “normal family.” The dramas also highlight the difficulties they face as caregivers. Both dramas also include romance narratives that follow the process of overcoming crisis and growing through building caring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In the absence of a well-established social care system, the protagonists of the two dramas, who are poor and helpless caregivers, struggle and are driven into isolation while fulfilling the care responsibilities imposed on them in the name of “family.” Yet, it is still difficult for them to provide proper care to the care recipients, and it only harms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are recipients.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at the beginning of the dramas are intertwined with experiences of the severe care gap by people who have lived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family” in Korean society. As they experience caring relationships with specific individuals who acknowledge their care needs, support them, and become included in caring communities via the invitation of those individuals, they gradually overcome obstacles and become hopeful that they can begin new lives. The characters and their narratives in the dramas allow viewers to virtually experience an ideal society based on an “ethics of care” by demonstrating the practice and value of caring. This article attempts to interpret the two dramas as texts that allow one to imagine and conceptualize a form of defamiliazed, degendered, and demarketized care which is demanded by today’s care discourse while also examining remaining real-world limitations to clarify the current state of a conception of care that transcends family and ge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