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의 가능성과 한계- infra 비전을 넘어 문화적 시민사회 비전으로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From Vision of Infrastructures to That of Cultural Civil Societi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8
37P 미리보기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의 가능성과 한계- infra 비전을 넘어 문화적 시민사회 비전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40호 / 481 ~ 517페이지
    · 저자명 : 정두순

    초록

    이 연구는 2019년 7월 부산시가 발표한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가능성과 한계를 도출하고, 부산문화정책이 담아야 하는 기본원리를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참여정부에서부터 현 문재인 정부에 이르는 각 정부의 문화개념과 문화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권력기관인 정부의 문화개념이 국가의 미래를 어떻게 좌우하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지역문화정책으로서의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이 어떠한 문화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된 정책인가는 물론, 부산의 미래를 어떤 방식으로 그려내는가를 밝히는 토대가 된다.
    문화정책이 인간 삶을 위한 가장 긴급한 정책임을 표방한 참여정부를 부정하면서, 창조적 실용주의와 창조경제의 논리에 따라 문화정책을 자본축적의 도구로 삼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지난 10년간의 문화정책은 온 국민의 삶을 반문화적 시대로 옮겨놓았다. 이에 맞서 현 정부는 문화=자본으로 공식화된 그간의 한국적 문화개념을 문제시하며 사람이 있는 문화를 지향, 삶으로서의 문화이자 문화로서의 삶을 향한 혁신적 전환을 가능케 하는 문화정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문제는 기존 문화정책과 현 시정에서 벗어나 부산만의 문화정책을 기획하며 탄생했다고 자평하는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이 오히려 실패한 창조적 실용주의와 창조경제의 논리를 답습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바니즘・전시행정・기념비주의에 매료된 부산시정부와 인프라확충을 문화로 인식하는 부산시민 사이에서 탄생한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은 문화정책과 예술정책이, 도시정책과 문화정책이 혼재한 괴이한 정책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지역으로서의 부산, 부산성은 차치한 채 스펙터클한 거대 해양도시부산을 꿈꾸는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은 부산시민은 없고 예술가만 남는, 부산시민은 없고 해양도시부산만 남는 미학화한 도시의 미래상을 담고 있다.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역할은 지역-사회와 지역-시민의 존립을 위한 문화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있으며, 문화적 토대란 교환가치로서 작용할 문화적 인프라의 구축이 아닌 사용가치를 발휘할 문화와 그 생산을 위한 시민주체 형성에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아울러 지역문화정책은 지역예술(인)의 활성화 및 문화적 인프라의 건립이라는 강박을 넘어 부산시민이 처해 있는 노동시간, 최저임금, 기본소득 등과 같은 현실 문제를 진단・고려함으로써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지향하는 데로 나아가야 하며 이로써 내일의 문화적 시민사회를 여는 동력이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Analyzing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the paper aims to draw out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and to suggest basic principles that the cultural policy of Busan should contain. To this end, this work first examines the cultural concepts and policies of each government, from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o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This helps to find possible solutions to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what concept of culture does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as a local cultural policy rest on, and how does it picture the future of Busan?’ Born between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fascinated by urbanism, exhibition administration and monumentalism, and Busan citizens recognizing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s a culture,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has, in fact, limitations as a peculiar mixture of cultural and artistic policies, and urban and cultural policies. Disregarding Busan’s localities, or Busanness so to speak,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which explicitly expresses its dream of Busan as a spectacular marine giant, contains the city’s aestheticized future in which there are not Busan citizens but only artists and a marine city.
    Based on this critical analysis, the study argues that the role of local cultural policy lies in establishing a cultural foundation for the survival of local communities and local citizens, and that the cultural foundation is not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to act as exchange value, but rather in a culture that will exercise use value and form a civic entity for the production of cultur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local cultural policies should go beyond the urge of revitalizing local arts and constructing cultural infrastructure to diagnose and consider real issues such as working hours, minimum wage, and basic income with which Busan citizens are confronted, and thus those which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tomorrow’s cultural civi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