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박물관 전시전략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A new museum exhibition strategy that crosses boundaries -Focusing on the exhibition at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박물관 전시전략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46호 / 263 ~ 288페이지
    · 저자명 : 황규진

    초록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은 역사박물관이면서 메모리얼 박물관이자 종교박물관이다. 이런 중의적 성격에 미술관의 성격을 더한 국내에는 전례 없는 박물관이다. 가톨릭 서울교구의 발의에 의해 건립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건립과정은 수월하지 않았다. 조선후기 사형터로서 가톨릭 성인들의 순교지이자 아시아 최초의 교황청 승인 국제순례지로 지정된 서소문 일대를 기념하고자 하는 가톨릭 서울대교구의 오랜 노력은 역사 유적지를 특정 종교만을 위해 성지화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의견에 부딪혀 고전하게 된다. 서울시와 중구의 공공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가톨릭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시민 전체를 위한 공공의 공간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고 이에 ‘서소문밖 역사유적지 관광자원화 사업’이란 이름으로 처음 시작된 프로젝트는 ‘서소문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역사박물관과 공원이라는 두 가지를 모두 수용한 건축적 해법을 찾아냄과 동시에 전시에 있어서도 건립과정에서의 반대의견을 수용하여 천주교를 종교가 아닌 조선후기 서학, 동학 등과 더불어 다양한 사상계의 전환기라는 관점에서 다루며 조선후기 역사를 전시에 담아 역사적 장소로서의 서소문 등을 포함하였고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이라는 취지를 뚜렷하게 보여주기 위해 예술위원회를 구성하고 예술감독을 두어 정기적으로 미술기획전시를 개최하는 전략적 선택을 하였다. 현대미술관이 아닌 박물관에서의 동시대 현대미술의 전시는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다. 새로운 시각을 부여하는 환기적 전시로 앞서가는 기획자들에 의해 종종 시도되어왔으며 최근 ‘초역사적(transhistorical) 전시’라는 명칭을 얻으면서 주목받고 있는 전시 형태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특별전 등에서 종종 시도되고 있는데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과 같이 예술감독과 담당 학예사를 두고 본격적이고 전문적으로 미술전시를 하는 경우는 특별한 사례라고 하겠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찾아가야 하는 신박물관시대의 박물관이 나아갈 바를 밝힐 수 있는 좋은 선례로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이 ‘박물관에서의 미술관 전시’라는 이색적인 전시전략을 채택하게 된 배경과 함께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전시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찾아보려고 한다.

    영어초록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is a history museum, a memorial museum, and a religious museum. It is an unprecedented museum in Korea that adds the characteristics of an art museum to this ambiguous characte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which was built at the initiative of the Catholic Diocese of Seoul, was not easy. The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s long-standing efforts to commemorate the Seosomun area, a site of martyrdom for Catholic sai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first Vatican-approved international pilgrimage site in Asia, have struggled in the face of opposition to turning historical sites into sacred sites for specific religions. do. As public fund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ung-gu are being invested, the argument that it should be a public space for all citizens, not just a space for Catholics, gained strength. Accordingly, the project that was first started under the name of ‘Seosomun Historical Site Tourism Resource Project’ was ‘Seosomun Gate’. By changing the name to ‘History and Culture Park Creation Project’, we found an architectural solution that accommodated both the history museum and the park, and at the same time accepted opposing opin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exhibition, and recognized Catholicism as a religion rather than a religion. In addition, it was tre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nsitional period in various ideological circles, and the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ncluded in the exhibition, including Seosomun as a historical site.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purpose of being a cultural space for citizens, an arts committee was formed and an art director was appointed to regularly organize art exhibitions. A strategic choice was made to hold the poem. The exhibition of contemporary contemporary art in museums other than modern art museums is not sudden. It has often been attempted by leading planners as an evocative exhibition that provides a new perspective, and is also a form of exhibition tha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it has been called a ‘transhistorical exhibition’. It is often attempted in special exhibitions in Korea as well, but it is a special case when a full-scale and professional art exhibition is held with an art director and curator in charge, such as at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ccordingly, this paper serves as a good precedent that can shed light on the future direction of museums in the new museum era, where the values of publicness and diversity must be sought, along with the background to why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dopted the unique exhibition strategy of ‘museum exhibition in a museum’. Let’s look at the exhibition contents of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nd find out its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박물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