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換局을 넘어 蕩平으로, 延礽君의 國王되기 - 생존의 모색과 새로운 연대의 구축 - (Yeoning, The Crown Prince : The Struggle for survival and the formation of new political allianc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換局을 넘어 蕩平으로, 延礽君의 國王되기 - 생존의 모색과 새로운 연대의 구축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42호 / 43 ~ 75페이지
    · 저자명 : 주채영

    초록

    정치사란 권력을 향한 서로 다른 세력의 갈등과 화해의 기록일 것이다. 조선사 역시 이러한 다툼과 화해, 연대의 기록이다. 출생과 함께 換局과 黨爭의 중심에 놓였던 英祖의 일생은 상대의 존립을 인정하지 않는 노・소의 극한 갈등을 극복하려는 역사화해의 압축판이었다. 그의 왕위 계승 정통성 문제에서 출발한 당파의 대립은 환국과 獄事로 이어지며 대규모 희생자를 내고 즉위 후에도 충역시비로 인한 국정 운영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영조는 즉위와 함께 탕평을 선언하여 갈등 국면의 종식과 당파의 화해를 추진하였다. 영조가 내건 화해와 탕평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즉위 전 시기, 연잉군과 세제로 보낸 시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조가 즉위와 동시에 탕평을 주창할 수 있던 것은 세제시기 구상의 결과이므로, 이 글에서는 세제 연잉군의 경험과 정국 인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父王 肅宗의 반복적인 환국은 景宗과 延礽君 형제를 피할 수 없는 정치적 대척점에 놓았다. 丙申處分(1716) 이후 조정의 우세를 점한 노론은 경종을 견제하며, 대비와 연합하여 공공연히 연잉군을 擇君하여 建儲·代理를 추진하였다. 노론의 독선적 형태에 분노한 경종과 소론은 辛壬換局과 獄事를 통해 노론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잉군은 끊임없이 위협에 처했다.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며 건저의 정당성을 흔든 柳鳳輝의 상소, 대리청정 논란으로 불거진 不忠의 문제, 신축환국과 세제 시해 기도 사건 그리고 睦虎龍의 고변 등은 그의 세제 시기가 얼마나 험난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연잉군은 세제 책봉 직후, 불거진 유봉휘의 상소에 자신을 한껏 낮추며 욕심 없음을 호소하는 반면 三宗血脈論을 내세워 정통성을 강조하였다. 대리청정 논란이 일자 여러 차례 간곡한 상소를 올려 孝를 표하면서도 경종의 병을 에둘러 표현하며 노론의 명분을 두둔하는 노련함을 보였다. 또한 환국 후, 노론이 축출된 상황에서 벌어진 시해 기도 사건을 처리하며 상황의 반전을 꾀하였다. 자신을 압박하는 金一鏡과 朴尙儉 일파를 제거하기 위해 孝의 실천과 학업이라는 세제의 본분을 벗어나 적극적으로 사건을 조사하고 사위 시위를 벌이며 환관의 정치 개입을 공론화하였다. 이 사건은 세제가 노린 환국의 번복이라는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예기치 않은 소득을 안겼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영의정 趙泰耈와 시강원 궁료 宋寅明 등은 세제의 보호와 지지를 천명하였다. 세제는 이들과의 연대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노론의 퇴출로 보호막을 상실한 세제는 대척점에 있던 소론과 연대하여 자신을 위협하는 급진파 소론을 견제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목호룡의 고변으로 역모에 연류당한 세제의 보호에도 적극적이었다. 세제는 이들에게 신뢰를 표했으며 사건의 해결을 일임하였다. 노론의 실각과 급소의 위협은 오히려 세제에게 자신만의 세력을 구축할 기회를 주었다. 이로써 연잉군은 양립 가능성을 상실한 노・소 대신 화해와 연대의 정치를 추진할 탕평파를 구상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o fully understand the main actor of any political upheavals, it is crucial for historians to examine the actor’s public and personal elements. For Yŏngjo (r.1774-1776), who spent more than half of his reign over his royal legitimacy, both elements are particularly essential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is reign. The lingering legitimacy question originated from his appointment of a Crown Prince and Regent.
    The recurring “turn-overs” (hwanguk), which initially emerged from Sukjong era, deteriorated gravely following his appointment. The political clash was inevitable as Noron supported Yeoning while Soron supported Kyŏngjong. When Noron rushed to take over the throne by seeking to appoint Yeoning as Crown Prince, Kyŏngjong and Soron fought back by imprisoning Noron officials and enforcing a turn-over. In the process, the endangered Noron-endorsed Yeoning had to battle for his political and personal life. As the rival faction attempted to question the royal protocol of Yeoning’s investiture, he drew attention to his legitimacy by emphasizing his humble character and the royal lineage. When the controversy erupted over his role as Regent, he ustified his service as an act of filial piety by stressing his selflessness and Kyŏngjong’s poor health condition. After the purge of his supporting faction, he actively sought to engage in political affairs, although his acts may have violated his duty. The Crown Prince even put his position at stake to proclaim that turn-overs were bound to happen due to the collusion between his rival faction and eunuchs. While he failed to accomplish his goal, he secured crucial supports among the officials who would later help him be cleared of treason charges.
    From the beginning of his investiture, Yeoning formed a political faction, comprised mainly of officials from the Crown Prince Tutorial Office. Yeoning’s experiences in incessant turn-overs led him to cultivate political skills and form new political alliances with those officials who would eventually play key roles in promoting the Policy of Impartiality after Yŏngjo’s accession to the thr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