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A Transition from Local History to Regional History -The current state and new searches of regional history research in modern 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11
35P 미리보기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0권 / 2호 / 347 ~ 381페이지
    · 저자명 : 허영란

    초록

    이 논문에서는 지역사를 지방사와 예각적으로 구분할 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밝히고,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을 검토하여 ‘지역사로의 전환’이 갖는 적극적 의미를 제시했다. 지역사로의 전환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첫째 중첩되고 교차하는 미시적 경험, 둘째 혼종적 사람, 혼종적 장소, 혼종적 문화, 셋째 식민지에서 ‘지역’의 발견과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지방사 연구는 1980년대 이후 민중운동의 성장과 민주화, 냉전 종식과 더불어 수용된 ‘새로운 역사학’의 확산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활성화되었다. 지방이 국가 또는 중앙에 종속되거나 주변화된 개념이기 때문에 지방사보다는 지역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가진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렇지만 지방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연구자들 가운데도 지방을 자율적인 역사문화적 공간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지방사와 지역사를 혼용해도 무방하다는 의견 역시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지방이라는 용어에 지역 개념이 포함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연구 대상으로서의 공간적 범주와 ‘지역사가 추구하는 역사인식의 관점’을 구분하는 것은 담론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지방사’는 국민국가나 민족공동체 같은 거시사적 표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때문에 보편사로 수렴되지 않는 이질적이고 미시적인 역사들은 동질화되거나 삭제 또는 배제당할 처지에 놓이기 쉽다. 여기서 다원적인 시간과 문화가 중첩되어 있는 삶의 장소, 공동체와 개인의 적극적인 행위에 주목하는 ‘지역사(라는 관점)’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난다. 나아가 그것을 통해 마을이나 도시만이 아니라 국가까지도 지역사의 범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지역사 역시 지방이 처한 현실의 위계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학문적 실천으로서 ‘지역사라는 관점’은 현실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현실의 모순구조가 완화되어 권력의 지역화와 분권화가 함께 병행되어야만 지역사 연구도 더욱 확실하게 발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shed light on the advantages of distinguishing regional history from local history at an acute angle, to review the current state of regional history research in modern Korea, and to propose the operational meanings of a transition to regional history.
    Local history research became active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at included the spread of new historical studies, which was accepted along with the growth of popular movements, democratization, and the end of the Cold War since the 1980s. Today, more and more researchers state that it is valid to use the term regional history instead of local history since it is the concept of an area being subordinated or marginalized to the state or the center.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ases in which researchers use the term local history to set an area as an autonomou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opinion is consistently maintained that it is fine to use local history mixed with regional history.
    Even though the concept of region can be included in the term area, it is important for the discourse aspect to distinguish the space category as an object of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awareness sought after by local history.” Local history is not free from such macro-historical expressions as a nation-state and ethnic community. Thus, it is easy for heterogeneous and microscopic history that does not converge on universal history to be homogenized, eliminated, or excluded. Here there is a need raised to set (a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to focus on the place of life where multi- dimensional time and culture overlap each other and are on the active actions of the community and individuals. It can further work to even figure out states as well as villages and cities within the category of regional history.
    In addition,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is important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in which areas are even called colonies, and search for ways to overcome it. There should be an active perspective and academic practice for the object of research beyond a directive in order to gain the power of changing the reality without neglecting or mislead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