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세 여자 성인들의 음식, 몸, 물질의 종교: 캐롤라인 워커 바이넘의 저작을 중심으로 (Food, Body, and Material Religion in the Stories of Medieval Female Saints : the Legacy of the Works of Caroline Walker Bynu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09
34P 미리보기
중세 여자 성인들의 음식, 몸, 물질의 종교: 캐롤라인 워커 바이넘의 저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종교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문화비평 / 32권 / 32호 / 91 ~ 124페이지
    · 저자명 : 최화선

    초록

    이 글은 역사학자 캐롤라인 워커 바이넘(Caroline Walker Bynum)의 서구 중세 종교사에 대한 연구를 음식, 몸, 물질의 종교라는 세 주제어를 통해 재검토해보며, 이 연구의 의미를 종교학의 맥락에서 가늠해본다. 바이넘은 1987년에 출판된 저서 《거룩한 만찬과 거룩한 금식: 중세 여성들에게 있어서 음식의 종교적 의미》 (Holy Feast and Holy Fast: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Food to Medieval Women)에서 음식과 관련된 여러기적 및 고행을 보여주는 중세 여자 성인들의 예를 통해 음식이 이들의 종교적, 사회적삶에서 지닌 기능,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바이넘은 이 여성들이 고통 속에서자신의 몸을 내어주며 인간을 먹이고 구원하는 그리스도의 이미지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가운데, 극단적 음식 실천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며 자신의 종교적 이상을 긍정적,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바이넘의 이같은 주장은 중세 여자 성인들의 금식과 음식실천 고행을 단순히 육체, 특히 여성의 육체를 혐오하고 통제하고자했던 남성중심적 그리스도교 담론의 내면화로만 바라보는 시각의 한계를 지적하며, 이러한 시각이 여성들의 종교적 삶과 경험을 구성하는 복잡한 맥락을 지나치게 단순화 시키고, 과거 여성들의 목소리를 발굴하려는 작업 자체의 가능성을 배제해버리는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었다.
    또한 바이넘은 몸과 영혼, 물질적인 것과 영적인 것의 경계가 중세 그리스도교에서그렇게 명확한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이를 이분법적 젠더 구분에 단순하게 대응시키는 것 역시 문제가 있다고 바라보았다. 바이넘은 중세 그리스도교의 몸의 개념 역시인간의 몸이 아닌 물질의 개념으로 확장시켜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확장된 몸-물질 개념 속에서 음식, 몸, 성체, 성유물, 이미지, 성상 등은 소위 ‘신앙의내면화’가 점점 더 강조되는 중세 후기 나아가 근대 초기까지도 사람들의 구체적인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했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러한 바이넘의 중세 그리스도교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담론 구조, 상징 형식에 제한되면서도 또 거기에 맞서 저항하며 이를 조금씩 부식시키고 균열을 내며 새로운 의미를 더해가는 주체, 물리적인 몸과 물질에 대한 감각을 지닌 주체의 힘에 대해 우리로 하여금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즉, 음식과 몸에 대한 남성중심적인 담론과 상징구조 안에서도 일부 중세 여성들은 바로 그 음식과 몸의 실천 자체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이 구조와 상징의 의미를 다중적인 것으로 만들었고, 초월적이고 내면적인 신심이 강조되는 신학적 담론 구조 안에서도 여전히 많은 종교인들은 물질적이고 감각적인 것들에 중심에 둔 종교적 행위들을 이어가며 이 구조 자체를 복잡하고 복합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바이넘의 관점을 통해 우리는 종교학에서의 음식과 물질의 의미에 대해 재고해볼 수 있다. 즉 음식, 몸, 물질은 단순히 종교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지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종교를 구성하고 만드는 힘이며 그래서 이미 만들어진 종교 상징과 구조마저도 바꿀 수 있는 힘이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s of medieval historian Caroline Walker Bynum, through the lenses of food, body and material religion,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her work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religions. In her 1987 book, Holy Feast and Holy Fast: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Food to Medieval Women, Bynum discusse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food for some ascetic female saints who practiced extreme fasting and performed several food miracles. She argued that these female saints identified themselves with the image of Christ, who suffered and sacrificed his own body as food for human beings to save them. In addition, she claimed their extreme food abstinence and obsession with the Eucharist was a positive, voluntary way to realize this religious idea. Bynum’s theses showed the shortfalls of the prevailing view in which these female saints are interpreted as examples of internalization of the male dominated Christian discourses, which hated and tried to control the body, especially the female body. Her arguments pointed out this view may overly simplify the complicated contexts of women’s religious lives and experiences and exclude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women’s own voices from the past.
    In addition, Bynum argue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body and soul,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were not that clear in medieval Christianity; therefore, she found the simple correspondence of these dichotomies to the gender dichotomy also problematic. She suggested the medieval conceptions of body could be understand better when situated in conceptions of matter rather than in human beings or persons. In this expanded context of body-matter, the elements of food, the human body, the host, relics, image, and statu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religious lives. These remained important even after the early modern period when inner piety became more emphasized.
    Bynum’s works on women, body, and matter in medieval Christianity make us reconsider the power of the physical, the sensuous, and the material subjects that are in a way confined in the system of specific discourse and symbols, but in other ways, always resist, corrode, and eventually fracture the same system. Some medieval religious women made their own voices in the male dominated religious symbolic system of food and body while using the very same food and body symbols; some religious people continued to focus on the senses and materiality of religious objects in the prevalence of the theology of transcendental and inner piety, making the theological discourses more complicated and heterogeneous. Therefore, from Bynum’s point of view, we can reconsider the meanings of food and the material in the history of religions; the food, the body, and matter are not only conceptualized and controlled by religious ideas but also, they are the powers that re-construct religious ideas, thus sometimes, they sometimes can change the already established meanings of the religious symbols and the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문화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