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화성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관계 유형 연구― 『백화』와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emale Characters Relationship in Park Hwaseong’s Novels ― Focusing on Park Hwaseong’s “Baekhwa” and “Crossing over the Pass”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박화성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관계 유형 연구― 『백화』와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62호 / 113 ~ 140페이지
    · 저자명 : 최창근

    초록

    박화성은 목포 출신의 여성 작가로 일제 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 작품 활동을 해온 다작의 작가이다. 그녀의 해방이전 작품에 대해서는 식민지하 조선 민중이 겪는 고난과 시련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해방 이후 발표한 다수의 소설에서도 박화성은 역사의 격변 속에서 고뇌하고 방황하는 당대 젊은이들의 모습을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박화성은 자신의 소설에서 여성의 주체화에 대해 누구보다 심혈을 기울인 작가이다. 그녀의 여성 주인공들은 단순히 소설 속의 인물이 아니라 시대적 의미를 온몸으로 표현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특히 1945년 해방을 기점으로 해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의 모습이 달라졌으며 또 여성 스스로 이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반면 그녀의 창작론이 가부장이데올로기에 편향되어 있으며 소설 속 여성 주인공 역시 남성의 지도를 받아 전근대적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박화성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여성해방의식과 가부장이데올로기 양쪽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식민지배라는 사회적 모순이 야기한 불가피한 면이기도 하다. 나아가 지식의 전수가 지식인 남성을 통해 이루어졌던 특수한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그녀가 그리고 있는 여성인물은 해방을 기준으로 구별된다. 해방이전 즉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독립과 계급해방이 최우선이기에 이를 함께할 동지적 관계가 가장 중요했다. 이 목표에 동참하지 않는 여자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여성 유형은 동지적 관계와 적대적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해방이후에는 조국의 근대화라는 대의명분아래 다양한 인물들이 협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이런 이유로 여성들의 성격도 개성적이면서 상호 보완적이었다. 반면 그러한 목적에 동조하지 않거나 올바른 여성의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 여자들을 배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여성 유형은 보완적 관계와 배제적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해방이전의 주제였던 민족독립과 계급해방이 점차 신세대의 독립선언으로 이어지는 경향도 보인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에서 여성의 성격과 관계도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세대의식은 전통과의 단절 및 쇄신을 의미하며 더불어 여성에게 신세대를 양육하고 가르칠 의무를 부여했다. 따라서 박화성의 여성인식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변화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Park Hwaseong is a female writer from Mokpo who worked for a long tim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he 1980s. For her works before the Liberation, the mainstream was the fact that she painstakingly portrayed the suffering and trials the people in colonized Joseon were experiencing. She also showed the contemporary young people who were agonizing and wandering in the cataclysm of history in the novel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Park Hwaseong is a writer who is more concerned about the subjectivity of women in his novels. Her female characters are not simply characters in novels, but characters who express the meaning of the times in whole body. Especially in 1945, it shows a great change based on the Liberation, showing that women that the society demands turn to be different and that women themselv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what the society demands. On the other hand, her creative theory was biased toward patriarchal ideology and there was a criticism that female characters in her novels also had premodern values by being guided by men.
    It can be said that Park Hwaseong's perception of women includes both women's liberation consciousness and patriarchal ideology. This is also an inevitable aspect caused by the social contradiction of colonialism. Furthermore, this is also also related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where the transfer of knowledge was done through the intellectuals of men The female character she depicts is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e Liberation. In the pre‐Liberation period, that i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and the liberation of classes were top priority, so the comrade relationship along with them was the most important. And negative attitudes were shown toward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is goal. Therefore, the types of women in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comrade relationship and hostile relationship.
    After the Liberation, it was most important for the various people to cooperate under the name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For this reason, the personality of the women was also individualistic and complementary. On the other hand, it tends to rule out women who do not agree to such a purpose or who do not fit the correct identity of a woman. Therefore, the types of women in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complementary and exclusionary relations.
    On the other hand, national independence and class liberation, which were the themes before the Liberation, gradually tend to lead to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new generation.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the nature and relationship of women were changing in this process. The new generation consciousness meant a break with the tradition and a renewal, and it granted women the duty to nurture and teach the new generation. Thus, it is said that Park Hwaseong’s perception of women has changed in response to this tr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