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른스트 블로흐의 낮꿈과유토피아를 넘어: 베드로의 낮꿈과 하나님의 나라 (Beyond Ernst Bloch’s Daydreaming and Utopia: Peter’s Daydreaming and the World of G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5.10
28P 미리보기
에른스트 블로흐의 낮꿈과유토피아를 넘어: 베드로의 낮꿈과 하나님의 나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37호 / 205 ~ 232페이지
    · 저자명 : 유경동

    초록

    종교적인 관점에서 꿈이 실제 계시와 믿음을 함유하는지, 아니면 꿈을꾸는 행위와 종교적 행위의 관계에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밝히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기독교 세계관을 보면 구약과 신약에서는 꿈의 해석은독특한 관점을 취한다. 그것은 꿈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적 영역에 대한 강조이다. 즉 꿈을 통하여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에게 일어날 일과 하여야 할일을 전하기도 한다. 꿈이 인간 정신의 자유로운 영역이며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라는 꿈의 내용은 개별적 존재의 개체성이 강조되는 면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교권이 확립되며 아퀴나스와 스콜라철학의 성장, 성경에 대한 절대 믿음, 그리고 계몽주의 이후 인간 이성의 강조에 의하여기독교 세계관에서 꿈의 문제는 점차적으로 주변화되어가고 있다고 본다.
    필자는 이 글에서 꿈과 신앙의 관계에 대하여 윤리적인 행위와 책임의 문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꿈이란 단지 욕망이나 무의식의 현재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그렇다고 다다르지 못하는 무의식 너머의 초월의 영역에 대한 신비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꿈은 최소한 기독교적 관점에서 오히려 윤리적 현재화를 지향하는 무의식의 발로이며, 삶의에너지를 확장하는 신앙의 발현으로 보는 것이다. 필자는 꿈에 대한 해석에서 프로이드와 대척점에 있었던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의 ‘낮꿈’이론을 중심으로 의식과 유토피아적 이상에 대한 그의 해석을 살펴보고, 사도행전 10장에 나타나는 베드로와 고넬료 가정의 구원사건에 등장하는 낮꿈의 해석을 통하여 블로흐의 꿈 해석을 넘어서는 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가 전개하고자 하는 논지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에른스트 블로흐의 낮꿈의 해석을 프로이드와 비교하면서 그 핵심적인 관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블로흐의 낮꿈과 프로이드의 밤꿈의 해석, 욕망의 발산과 유토피아의 출현이라는 블로흐의 꿈 해석을 살펴보겠다. 둘째, 사도행전 10 장의 베드로의 낮꿈과 연관한 종교적 이상의 의미와 윤리적 책임에 대한문제를 살펴보면서, 한편 블로흐의 낮꿈에 대한 한계를 짚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교적 꿈의 윤리적 함의에 대하여 몇 가지 관점을제시하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Sigmund Freud thought dreams as the unconscious and hidden sexual desire, but Ernst Bloch, in The Principle of Hope, regarded daydreaming such qualities as hope, desire and the utopian vision of the future. Bloch explored the meaning of ‘The-Not-Yet-Conscious’ and ‘Anticipatory-Illumination’, envisioning humans as ones to achieve a better life beyond utopian impulses.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Bloch’s ‘Not-Yet-Conscious,’ and his ‘principle of hope’ to fulfill utopian longings, but still feel that his systematic examination of daydreams is not enough to apply it to the case of religious daydreams appeared in the Scripture. While there are probably some comprehensive utopian imagination and reality in Bloch's philosophy, I argue that hope in daydreaming not only permeates human consciousness but is designed and achieved by the will of God.
    In Acts 10, Peter met Cornelius who was a gentile. God’s purpose for them was to let them know that no human beings are treated as profane and unclean in the eyes of God. Luke emphasizes God’s will and salvation for gentiles through divine intervention in Peter's daydreaming.
    In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and comparison between Bloch's theory of daydreaming and Peter's one, such issues as utopia, daydreaming, the world of God, the will of God, and God's intervention in human consciousness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ethics and responsibility in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religious daydreaming.
    After review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interpretation of daydreaming needs to be reshaped to realize the meaning of salvation, obedience and responsibility in Christian daydrea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