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버닝>에 나타난 주체화 -예외상태와 제도화된 우울증을 넘어- (The Subjectification in the Movie -Beyond the Exceptional State and Institutionalized Depress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영화 &lt;버닝&gt;에 나타난 주체화 -예외상태와 제도화된 우울증을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42호 / 403 ~ 430페이지
    · 저자명 : 한귀은

    초록

    <버닝>은 의문을 내포한 영화다. 이 의문은 <버닝>의 구조로부터 비롯되기도 한다. <버닝>은 미장아빔과 미스터리 중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로 인해 서사는 더욱 중층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품게 되므로 관객은 서사에 대한 이해에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객은 영화에 감정이입을 하기보다는 ‘소원화’를 통해 영화의 이야기에 관해 사유하게 된다.
    영화의 인물 또한 문제적이다. <버닝>에서 청년들(종수와 해미)은 ‘호모사케르’라는, ‘포함된 배제’의 상태에 처해 있다. 그들은 ‘예외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들은 타자들과 구분되지 않지만, 전적으로 그들로부터 배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수와 해미는 꿈을 꾸고 욕망을 갖는다. 그러나 그들의 꿈과 욕망은 현실에서 수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은 그 꿈과 욕망을 포기할 수 없다. 이것이 ‘제도화된 우울증’의 원인이 된다. 그렇지만 그들은 예외상태와 제도화된 우울증을 넘어 더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종수는 ‘감응’과 ‘환대’에 의해 더욱 주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주체화는 이창동이 <밀양>과 <시>에서 보여주었던 그 희망의 가능성과 관련이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종수는 해미가 사라지고 난 후 그녀의 삶을 추적하고 이해하게 된다. 그는 그녀를 있는 그대로 환대하고 그녀에게 감응한다. 그의 소설 쓰기는 그 환대와 감응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소설을 씀으로써 더 강렬하게 주체화의 여정에 오르게 된다. 이 주체화는 영화 <시>에서 미자가 시를 씀으로써 주체화가 되어 간 과정에 비견될 수 있다.

    영어초록

    <Burning> is a movie that contains more questions. These questions arise from the structure of this movie. The structure is largely expressed as a mise-en-abyme and mysterious structure. The narrative becomes more hierarchical and multiple, so the audience becomes less able to understand the film. The audience is not empathic, but thinks about the story of the movie through defamiliarization.
    The characters are also problematic. In <Burning>, young men (Jongsoo and Haemi) are in an 'exclusion and inclusion' of 'homo-sacer'. They are in a 'state of exception'. They are not identified with others, but are thoroughly excluded from them.
    Nevertheless, Jongsoo(종수) and Haemi(해미) have still a dream and a desire, but, their dreams and desires are not accepted in reality, yet they cannot give up their dreams and desires. This causes an 'institutionalized depression'. However, they look for a way to become more independent beyond 'exceptional state' and 'institutionalized depression'. Jongsoo becomes subjective by 'affect' and 'hospitality', which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hope that Lee Changdong showed in <Miryang(밀양)> and <Poetry(시)>.
    In other words, Jongsoo follows up and understands Haemi's life after she has disappeared. He receives her hospitably as she is. His novel writing can be the evidence of the hospitality and affection. He became more intense in the path of subjectification by writing novels. This subjectification can be compared to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Mija(미자) by the writing of poems in the film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