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문학을 넘어 신화로 회귀하기: 연인 심청에 나타난 종교적 인간 (Returning to the Myth beyond Classical Literature: Religious Aspects of Human Beings in Yeon - in Sim Cheo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3
20P 미리보기
고전문학을 넘어 신화로 회귀하기: 연인 심청에 나타난 종교적 인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 종교 / 21권 / 1호 / 109 ~ 128페이지
    · 저자명 : 유요한

    초록

    ‘효’라는 주제에 가려 주목 받지 못하지만, 심청전에는 인간의 종교적인 모습들이 많이 담겨있다. 방민호의 소설 연인 심청(2015)은 종교적, 신화적인 요소들을 고전소설 심청전보다 더 분명히 보여준다. 방민호는 심청전을 재해석한 이전의 현대작가들과는 달리, 신앙의 대상인 초월적 존재들을 등장시키고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계속 서술하는 등, 심청전의 신화적 내용을 과감하게 수용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연인 심청은 심청전이 뚜렷이 드러내지 않은 인간의 종교적인 면 세 가지를 강조한다. 첫째, 작품에서 심청은 끊임없이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부조리한 세상 너머의 가치를 추구한다. 이런 면에서 심청은 엘리아데가 말한, 매우 전형적인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이다. 둘째, 방민호는 심청을 통해, 종교적 인간이 불완전하고 가변적이고 무의미한 자신의 삶과 대조되는 완전하고 불변하며 유의미한 성스러움을 지향하고, 그 성스러운 존재가 자신의 부족함을 채워줄 것을 갈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셋째, 연인 심청은 심청의 진정한 사랑이라는 초월적인 능력으로 욕망에 눈먼 인간들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심청은 고통과 부조리의 세상 속에서 종교적 속성을 바탕으로 자신과 남을 구원하는 신화의 주인공의 모습을 보여주며, 신화가 인간에게 제시하는 모범적 본보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Sim Cheong Jeon shows religious aspects of human beings, though they are often unnoticed and overshadowed by its clear subject, the filial piety. Bang’s Yeon-in Sim Cheong reveals religious and mythic elements more clearly than Sim Cheong Jeon. Unlike other modern novelists reinterpreting Sim Cheong Jeon previously, Bang decisively accepts of the mythic contents of Sim Cheong Jeon. Furthermore, Bang’s novel articulates three religious aspects of human beings. First, Sim ceaselessly asks questions concerning human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life, and pursues values transcending this world. In this sense, she exactly corresponds to Mircea Eliade’s “homo religiosus.” Second, through Sim, Bang demonstrates how a religious person aspires toward perfect, eternal, and meaningful sacredness and wishes for the sacred to fill up her deficiencies. Third, Sim’s true love has the power to save people who are blind due to their human desire. Sim plays the role of the heroin of myths who saves herself and others through her religious attributes, and serves as the paradigmatic model for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 종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