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리언의 민족어 현실과 통합의 미래 -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넘어 - (The Reality of Koreans' national Language and the Future of Integration - Beyond the Hierarchy of the Center and Peripherie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12
36P 미리보기
코리언의 민족어 현실과 통합의 미래 -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넘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51호 / 559 ~ 594페이지
    · 저자명 : 정진아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동아시아 코리언의 언어생활을 비교 연구하는 한편, 그 과정에서 시론적이나마 코리언 언어통합 방안을 전망해보는데 있다. 필자는 이를 위해 동아시아 코리언의 언어실태를 조사하는 한편, 코리언의 언어실태 속에서 민족어 통합의 방향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언어사용 실태와 더불어 과연 이들은 민족어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이들의 의식과 무의식 속에는 민족어에 대한 어떠한 생각이 깃들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인, 북한이탈주민, 재중 조선족, 재러 고려인, 재일조선인의 언어실태 조사결과, 남북한의 주민을 제외하면 재중 조선족만 70%를 넘을 뿐, 재러 고려인과 재일조선인의 민족어 전용 비율은 1.8%와 1.9%로 극히 저조하였다. 그러나 이는 민족정체성이 아니라 디아스포라로서의 신산한 삶, 특히 거주국의 언어정책과 직결된 문제였다.
    코리언의 민족어는 거주 국가와의 언어접변으로 인해 어휘적 간섭, 음운적 간섭, 문법적 간섭 또한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재중 조선족의 조선어에서는 어휘적 간섭이, 재러 고려인에게는 음운적 간섭과 어휘적 간섭이, 재일조선인에게는 문법적 간섭과 어휘적 간섭이 주로 발생하고 있었다. 만일 한반도와 거주 국가 사이의 교류가 활발해진다면 코리언은 언어간섭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더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으로 추정된다.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중심세대인 2~5세대는 모어와 민족정체성이 일치되는 코리언 제1세대와 달리 이들은 민족정체성을 인식하게 되면서 민족어를 습득하게 되는 경로를 밟고 있었다. 민족적 자각이 생기면서 민족어를 배우고자 하고, 민족어를 통해 코리언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것이다.
    코리언의 민족어 소통과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민족어를 단일한 하나의 언어로 만든다는 “민족어 통일”이라는 관점을 다양성과 상호공존을 전제로 하는 “민족어 통합”이라는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한국의 규범을 강요하지 말고, ‘소통’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며 서로의 언어를 배우기 위한 방안으로서 통합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한국과 거주국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교류를 통해 민족어 통합의 사회경제적인 기반을 확대해야 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민족어 통합의 사회경제적 기반의 확대이다. 한국과 거주국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교류의 확장은 한국인의 문화적 상대주의를 확대하고, 민족어의 소통과 통합의 기반을 확장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민족어의 어휘는 더욱 풍부해질 것이고, 민족어의 어법은 코리언이 가장 선호하는 어법으로 정리될 것이다.
    다양성과 공존, 소통과 이해, 상호 학습과 교류라는 민족어 통합의 관점과 방향, 곧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버리고 고유한 말들의 잔치로” 민족어의 소통과 통합을 이루어간다면, 코리언의 진정한 민족어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work on Koreans’ linguistic life in East Asia on one hand, and attempt though just approximately at a method to integrate Koreans’ languages through the course of the work on the other.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author investigated the linguistic conditions of Koreans in East Asia on one hand, and carried out the work in the direction in which she explored the orientation of the integration into a national language in Koreans’ linguistic conditions. Also, in addition to the conditions of language use, the current author has examined what meanings they assigned to the national language, and what ideas about the national language are rooted in their conscious and unconscious mind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linguistic conditions among the South Koreans,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Korean Chinese, Korean Russians, and the Korean Japanese, the rates of exclusive use of the national language among Korean Russians and the Korean Japanese were extremely low as 1.8% and 1.9% respectively, with a rate of 70% among the Korean Chinese putting the South and North Koreans aside. However, this is not a problem of national identity, but an issue directly related to their challenging lives in diaspora, in particular to the linguistic policies in the countries where they live.
    Koreans’ national language is widely interfered lexically, phonologically, and grammatically by languages of the countries where they live. The Korean language of the Korean Chinese is mainly interfered lexically, that of Korean Russians phonologically and lexically, and that of the Korean Japanese grammatically and lexically. I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ountries where they live make active exchanges, it is conjectured that Koreans will make more positive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 of linguistic interference.
    The 2nd~5th Korean generations, the central generations of the Korean diaspora, have taken the route in which they have acquired their national language while recognizing their ethnic identity differently from the 1st generation. With their ethnic realization, they have come to try to learn their national language and communicate with other Koreans in the language.
    In order to drive the communication in and the integration into the national language among Koreans, first, we should shift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language unification”” from which the national language is created into a single language to that of “national language integration” that presupposes diversity and coexistence. Second, we should not force them to follow the South Korean prescriptive rules but should attempt at integration in a way of ‘communicating,’ increasing “mu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each other’s language. Third, we should extend the socio-economicbasis for the national language integration through economic and socio-cultur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countries where Koreans live.
    Out of tho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extension of the socio-economic basis for the national language integration. The extension of economic and socio-cultur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countries where Koreans live will extend cultural relativism among Koreans, and increase the national language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In this course, the vocabulary of the national language will be enriched, and its grammar will be determined by Koreans’ preference.
    If we proceed to achieve the national language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and in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integration including diversity & coexistence, communication & understanding, and mutual learning & exchanges, i.e. “in a festival of our inherent speeches while throwing out the hierarchy of the center and peripheries,” we will be able to achieve Koreans’ true national language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