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과 자료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길로 들어선 고려사 연구 (A Study of Goryeo History that has Entered a New Path Beyond the Boundaries of Space and Dat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3
46P 미리보기
공간과 자료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길로 들어선 고려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200호 / 59 ~ 104페이지
    · 저자명 : 문경호

    초록

    2000년대 이후 고려시대 역사 연구는 주제가 다양화되고, 대상이나 방법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도입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보이고 있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를 비롯하여 학자들의 문집, 중국의 사서, 금석문 등이 DB화되면서 연구성과가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도 심화되었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변화의 핵심을 대외관계 특히 고려-몽골 관계에 관한 연구의 확대와 고고학(수중고고학)과 역사학의 조우로 파악하고, 두 분야의 연구성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고려-몽골 외교 관계 연구는 전쟁사, 정치적인 변화, 반원정책 등에 주목했던 종전의 연구에서 벗어나 고려-몽골 관계를 이해하는 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관한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주목하였다. 고려가 몽골의 지배 하에서도 국가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시각은 세조구제설, 투하령설, 카안 울루스 내속국론 등이 있다. 세조구제설이 고려와 몽골 양국의 관계에 집중한 시각이라면 투하령설이나 내속국론 등은 대몽골제국의 역사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고려와 몽골 관계의 특수한 관계를 이해한 시각에 해당한다. 여몽 외교와 국서 교환에 주목한 연구들도 고려가 이전에 조공-책봉 관계를 맺었던 송, 거란, 금 등과 몽골의 외교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분석한 것에 해당한다. 두 분야는 얼핏 다른 것 같지만 큰 시각에서는 같은 맥락에 있다.
    수중고고학은 바닷 속에서 출수된 유물을 토대로 당대의 시대상과 생활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최근 서남해 일대에서 출수된 선박과 도자기 등은 대부분이 고려시대의 유물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선박과 함께 출수된 목간이다. 고려시대 목간은 화물의 발송지와 수취인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목간과 화물에 대한 연구성과를 소개함과 동시에 그간 연구자들이 주의깊게 보지 않았던 ‘재경(在京)’이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를 사심관이나 기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독하였다. 또한, 선박들의 다수가 무신정권기에 침몰한 것이라는 점도 주목하였다. 그것이 무신정권기에 특별히 더 많은 물자가 상납되었던 것인지, 기후 변화로 해수면의 변화가 있었던 것인지, 고의 침몰이 많았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연구 주제와 방법이 변화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고 생각된다. 고려사 연구는 사료의 한계로 그동안 여러 가지 면에서 제약이 있었다. 그런 점에서 최근에 인접 학문과의 융합, 인근 국가의 자료 활용, 방법의 다양화 등이 시도되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와 새로운 시도들이 고려사 연구의 기반을 확장하고, 심화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2000s, historical research in the Goryeo Dynasty has shown various change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topic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attempts in terms of subjects and methods. As Goryeosa and Goryeosajeolyo, collections of scholars, Chinese librarians, epigraphs, etc. were made into a DB, the research results were expanded quantitatively and also intensified qualitatively.
    In this article, the core of such change was identified as the expansion of research on foreign relations, especially Goryeo-Mongolia relations, and the encounter between archeology (underwater archeology) and history, and tried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the two fields.
    The study of Goryeo-Mongolia diplomatic relationship paid attention to how the discussion on how the frame of understanding Goryeo-Mongol relationship changed, departing from previous studies that paid attention to war history, political changes, and anti-Yuan policy. Perspectives on why Goryeo was able to maintain its state even under Mongol rule include the Sejoguje theory, the Tuharyeong theory, and the Qa’an Ulus naesokguk theory. If the Sejoguje theor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Mongolia, the Tuharyeong theory and the Qa’an Ulus naesokguk theory correspond to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Mongolia from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the Great Mongol Empire.
    Studies focusing on Yeo-mong diplomacy and the exchange of state letters correspond to analyzes of the differences in Mongol diplomacy with Song, Khitan, and Jin, which Goryeo had previously had a tributary-installation relationship with. The two fields may seem different at first glance, but they are in the same context in the big picture.
    Underwater archeology is the study of the era and life of the time based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ea. Most of the vessels and pottery recently excavated from the Southwest Sea are relics from the Goryeo Dynasty. Among them, the most noteworthy was the wooden tablet that came out with the ship. Wooden tablets from the Goryeo Dynasty contain important clues about the origin and recipient of cargo. In this article, the results of research on wooden tablets and cargoes are intro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the term 'Jae-gyeong', which has not been carefully looked at by researchers, is deciphered to mean a view of selfishness or origin. Also, it was noted that many of the ships were sunk during the military regime. More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whether it was a special supply of more goods during the military regime,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sea level due to climate change, or whether there was a lot of deliberate sinking.
    It seems natural that research topics and methods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Research on Goryeo history has been limited in many ways due to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source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recent attempts to converge with neighboring studies, use data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diversify methods are noteworthy changes. These changes and new attempts are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deepen the foundation of Goryeo history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