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한센병소설의 계보와 변천 - 격리와 불치(不治)를 넘어서 - (Genealogy and Transition of Leprosy (Hansen's Disease) Novels in Japan: Beyond isolation and incurabil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2
26P 미리보기
일본 한센병소설의 계보와 변천 - 격리와 불치(不治)를 넘어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06호 / 165 ~ 190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형

    초록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일본 한센병소설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겨진 대표작가 호조 다미오의 주변적 소설들과 그 이후의 다른 작가의 소설 텍스트들을 통시적 관점에서 계보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특히 ‘격리’ ‘단종(斷種)’ ‘불치’라는 한센병자를 둘러싼 실존적 조건들이 전전에서 전후로,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그 양상은 한센병소설 속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1930년대에 발표된 초기 한센병소설의 화두인 ‘격리’ 문제, 전전 1940년대를 다룬 소설에서 초점화된 전쟁기 요양소의 억압적 실태, 전후 1950년대 소설에서 문제시된 한센병 관련 법안 개정 문제, 이후 현대 한센병소설의 주제인 차별 없는 인간적 삶의 희구라는 네 항목으로 내용을 나눠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1930년대 호조 다미오의 소설이 요양소 격리의 현실과 한센병자로서의 자신을 수용하는 기로에서 고뇌하는 개인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전시기 40년대를 다룬 소설은 단종, 요양소 내 권력관계, 전시기 강제노동 등 시국과 긴밀히 연동하며 한센병자의 삶을 더욱 옥죄는 요양소의 냉엄한 현실을 매우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현실고발적인 소설은 당국의 검열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전후가 되어서야 발표될 수 있었다. 이어 1950년대 소설은, 치료약이 개발되어 ‘불치’의 굴레로부터 해방되고 민주화된 시대임에도 여전히 ‘격리’ ‘단종’ 정책을 존속시킨 개정 한센병 관련 법안(1953)에 대한 한센병자의 연대 투쟁을 생생히 기록하고 있다. 이후, 현대 한센병소설을 통해서는, 좀처럼 불식되지 않는 사회 차별과 그것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한센병자의 희구와 분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한센병자의 근대는 ‘환자’가 아니라 ‘인간’으로 대우받기 위한 기나긴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불치, 격리, 단종, 차별과 투쟁하며 극복해 온 한센병자의 역사적 신체가 그것을 웅변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rom a diachronic viewpoint the texts of the novels by Hojo Tamio, a representative leprosy novelist in Japan, and other authors following him whose works had been left unstudied in the circle of Japanese leprosy novels. In this context, a particular focus is placed on examining how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the lepers who had been ‘isolated’, ‘castrated’, and ‘treated as incurable’ have changed in line with the succession of times from pre- to -postwar periods and from the near-modern to the modern era as well as how these aspec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novels that deal with Hansen's disease. The issues rais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classified in detail into the following four stages: ‘isolation’ which was the topic of the early leprosy novels in the 1930s; oppressing circumstances of the sanatoria for lepers before the war which used to be the focal point of the novels in the 1940s; controversies over the revision of laws related to Hansen's disease which was the subject of debate in the 1950s; and the desperate desire of lepers to live a life worthy of man without discrimination, which has featured as the central question in leprosy novels since then.
    The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might be said that, in Hojo Tamio's novels describing the reality of lepers in the 1930s who were isolated in the sanatoria, they concentrated upon their inner world as they were immensely troubled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ir ego. However, the wartime novels published in the 40s graphically depicted the cold reality lepers had to face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issues prevailing at the time, such as castration, power games within sanatoria, and forced labor during the war, all of which rather intensified their agonies increasingly rigorously. As a matter of fact, such reality-accusing novels could only be published after they were freed from census by the authorities after the war. Then, the novels in the 1950s maintained vivid records on the joint resistance of lepers against the revised laws related to Hansen's disease(1953), which turned out to retain such policies as ‘isolation’ and ‘castration’ despite the fact that democracy became a reality and leprosy was no longer deemed as ‘incurable’ owing to the invention of remedies. Novels on Hansen's disease that have appeared since then, have shown signs of the desperate wish and fights of lepers who strived to live dignified lives as humans and, furthermore, to counterattack social discrimination that can hardly be dispelled.
    In a sense, the near-modern age was a stage of the long journey lepers have spent fighting to be treated not just as ‘patients’ but rather as ‘human’ beings. The bodies of lepers themselves eloquently speak of the history of their fights against and victories over incurability, isolation, castration, and discrimination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