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설시조의 여성을 향한 두 시선 - 저항과 욕망, 그 대립을 넘어서 - (Two Gazes Looking at Women in Saseolsijo: Resistance and Desire, Beyond the Conflict)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1
40P 미리보기
사설시조의 여성을 향한 두 시선 - 저항과 욕망, 그 대립을 넘어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50호 / 89 ~ 128페이지
    · 저자명 : 박상영

    초록

    본 연구는 사설시조 속 대담한 여성들을 향한 연구사적 시선을 추적하고 각각의 논리적 근거와 간극을 통찰하는 과정을 통해 사설시조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 문제는 사설시조 속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 이면에, ‘근대(성)’, 조선후기를 바라보는 관점, 문학 연구(고전시가)의 방법론적 접근, 연행/욕망-저항/권력 등 굵직한 문제가 어떻게 연결되어, 학술 담론의 場을 형성해 왔는가를 탐색해 본 것이다.
    사설시조에는 性에 관해 대담한 면모를 보여주는 독립적·능동적인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연구사에서는 이들을, 개인의 정욕을 표출한 ‘욕망 주체’로 보아왔거나 기존 질서에 대항하는 사회사적인 ‘저항 주체’로 보아왔다. 전자는 <춘화>나 음사 소설의 성행, 동성애에 대한 관심, 계급을 초월한 애정, 일상에서 발견되는 양반들 혹은 농민들 간의 성적 농담 등 조선후기 문화 현상을 근거로 도출된 시선이라면, 후자는 푸코의 권력 이론, 문화보편주의, 사설시조 전편에서 발견되는 저항적인 여성들, 기생들의 당대 제도권에 대한 저항과 이에 대한 사대부들의 동조 여론 등을 근거로 도출된 시선이다.
    이처럼 욕망의 기호만을 새기려는 쪽과 저항의 기호까지 새기려는 쪽 간에는, ‘유흥, 통속성, 일상성’과 ‘근대-전 근대’의 관계망에 대한 입장 차이가 복잡하게 얽혀있지만, 연행환경이 갖는 축제의 역할과 기능에서 그 접점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도 했다. 즉 사설시조가 불린 놀이판은 유흥/향락/소비성뿐만이 아니라, 상하질서를 뒤집는 변혁적 전도가 일어날 때도 있었고, 그 과정에서 공감적 신명풀이로서의 커뮤니타스가 형성될 때도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설시조 놀이판을 주도한 계층들이, 다른 문화를 향해 개방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취했을 가능성마저 고려한다면, 이들에 의해 놀이판으로 소환된 여성들을 ‘타자화 된’ 여성으로만 볼 수 없는 면도 있다.
    마지막으로 또 하나 짚고 갈 것은, 사설시조의 여성 담론에서 배제된 또 다른 여성군들-특히 노년 여성과 장애 여성-에 대한 ‘시선’의 부재 문제이다. 진정한 여성문학은, 여성 담론 안에서조차 소외된 타자이자 잉여적 존재들인 이들 여성들의 처지와 감성을 오롯이 보듬어 안을 때에야 오롯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directions of Saseolsijo research through the process of tracing two conflicting gazes for bold women in the history of Saseolsijo research and insighting each logical basis and gap. The topic is connected with unsolved problems in this field, such as 'modernity', a viewpoint toward the late Chosun Dynasty,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iterature research (classical poetry), desire- resistance, power, etc.
    There are a number of women in the Saseolsijo who show independent, active, and boldness about sexuality. Researchers have seen them as 'desire subject' expressing individual lust, or 'subject of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social order. The former is based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late Choson Dynasty, such as <Chunhwa>, the enlightenment of sexual novels, the interest of homosexuality, transcendental affection, or sexual jokes among farmers/upper classes. The latter is based on the Foucault’s theory on power, cultural universalism, resistive women found in the whole Saseolsijo and Gisangs’ resistance to the contemporary system and upper classes’s sympathy on this movement.
    There is a complicated interplay between the two, ‘one to engrave only the sign of desire’ and ‘one to engrave the symbol of resistance’, about ‘entertainment’, ‘popularity’, ‘everyday life’ and ‘Modern and pre-modern’. However, the contact point of two different gazes could be also found in the role and function of performance like festivals. In other words, the space in which Saseolsijo was performed was not only entertainment, consumption, but also transformative evangelism that reversed the upper and lower order, forming communities that bring liberation from norms. In addition, the men who lead the Saseolsijo performance show a flexible attitude not only to "exclude" other cultures but also to "open" them, so women who were summoned by them can be regarded differently not as "stuffed women”.
    Finally, this study also raised the issue of the absence of a 'gaze' on other women - especially older wo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 that were excluded from Saseolsijo women research. It is meaningful not only to look at women as feminist perspectives but also to establish genuine women's literature when they embrace the sadness and emotions of these women who are marginalized and extravagant beings even in the discourse of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