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경을 넘는 서사와 장소의 정치학 — 『리나』와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 (The Transboundary Politics of a Narrative and Place in Lina and Barideg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국경을 넘는 서사와 장소의 정치학 — 『리나』와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71호 / 305 ~ 333페이지
    · 저자명 : 엄미옥

    초록

    『리나』와 『바리데기』는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시기를 정점으로 한 극한의 굶주림과 억압적인 통치로부터 탈출하여 국경을 넘어 보다 나은 삶의 기회를 위해 새로운 장소를 찾아가는 이주여성을 중심인물로 다룬다. 또한 이 작품들은 사건의 지속과 배열이 선조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는 장소에서 인물이 장소를 지각하고인식하는 이야기가 각각 대등하게 병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고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먼저 스토리와 담론 차원에서 공간의 이동과 장소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피고, 장소경험에 의해 인물의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작품에서 궁극적으로 구현되는 장소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했다.
    리나와 바리는 국경을 넘어 이주하는 과정에서 인신매매를 당하고, 폭력과 강간의 위험에 노출되며 성산업과 서비스업에 종사한다. 또한 『바리데기』에서 런던에 정착한바리는 다국적 인종들과 함께 백인 거주 지역과는 다르게 구획된 연립주택에서 생활하게 된다. 즉 인물의 장소의 이동과 경험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자본뿐만 아니라 젠더와 인종의 요소가 긴밀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리나』는 국경을 넘는 장소경험을 통해 지구화된 가부장적 자본주의의 흐름에 의해 구성되는 장소성을 재현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억압된 욕망을 분출하는 상상의 장소를 축제와 무대를 통해 보이면서 지구화된 가부장적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새로운 장소성을 형성한다. 한편 『바리데기』에서 강조하는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과연민을 갖는 일은 장소를 경계지어진 것이 아니라 개방된 것으로 보고, 서로 돕고 연대하는 사회적 관계와 이해의 네트워크가 접합하는 지구적 장소감을 실현하는 행위이다.
    요컨대 리나와 바리는 국경을 넘는 이주여성의 장소경험을 통해 신자유주의 시공간 압축과 지리적 불균등이라는 전 지구적 흐름 속에서 생산되는 장소에 대한 문제제기와 더불어 대안적인 장소의 구축을 모색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Lina and Baridegi cover a migrant woman’s story who has escaped from the extreme poverty and violent oppressions of the ruling power by the time when the North Korea had a life-threatening famine known as the Arduous March by crossing boarders to find a better life in a new place. In the story, the sequence and arrangement of each incident is not presented in a chronological order. Rather, each story is equally organized in juxtaposition with another story as the main character recognizes and identifies the spatiality in a new pla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thesis is aimed at revealing how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change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places and what the ultimate sense of place realized in the novel is by analyzing how the mobility of spaces and places is reproduced in terms of story and discourse.
    On their transboundary journey, Lina and Bari have experienced sex trafficking, were exposed to the danger of violence and rapes, and worked in the sex industry and service business. In Baridegi, Bari who settled in London came to live in a terraced house with other multiethnic people, segregated from the residential areas where Caucasians live. It shows how genders and races along with capital intensively work together in one’s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ffects their choices of places and experiences.
    While Lina, through the transboundary place experiences, realizes a sense of place composed by the globalized flow of patriarchal capitalism, it also forms a new spatiality rebelling against the globalized flow of patriarchal capitalism by presenting a place of imagination where one’s suppressed desires are spurted through a festival and a stage. Meanwhile, in Baridegi, having a hope and compassion toward the world and others is described as being open, not limited by a sense of place. It is an action of realizing a global place where the social relations and the network of understanding through which people help each other and collaborate are connected.
    In summary, through the space experiences of the transboundary women, Lina and Baridegi raise questions about the places that are produced by the global flows of neoliberalism time-space compression and geographical inequality, and seek an alternative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