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해의 신학-통일을 넘어 화해를 추구하는 교회와 신학의 역할 (Theology of Reconciliation: The Role of the Churches and Theology beyond Unific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02
32P 미리보기
화해의 신학-통일을 넘어 화해를 추구하는 교회와 신학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32권 / 1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방연상

    초록

    이 논문은 기존에 한국교회가 갖고 있던 통일론에 대한 화해론적 전환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한국교회와 한국정부를 포함한 사회는 전반적으로 ‘통일’에 대한 강조가 주를 이룸으로써, 그 결과로 통일방법 역시 체제경쟁이나, 북진 통일론에 빠지고는했다. 그러나 이번 문재인 정부의 ‘新 한반도 평화비전’을 살펴보면, 이러한 통일중심의 통일방법론을 벗어나 화해를 중심으로 하는 통일론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이러한사회적 변화를 통일중심의 신학에서 ‘화해’중심의 신학으로의 이행이라는(화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남북통일을 위한 교회와 신학의 대안으로 ‘화해의 신학’을 제안한다.
    한반도 통일에 관한 신학적 담론에 있어 지금까지의 논의는 주로 통일을 우선적이고당위적인 과제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분단 상황이 장기화함에 따라 통일에 대한 대중의인식과 당위성 사이의 인식 격차는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통일 담론은 분단과 전쟁트라우마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역효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통일 담론속에 있는 본질주의적 지향성은 타자의 다양성을 억압하는 주체의 논리를 강화하기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를 지향하는 교회와 신학은 통일보다 화해에 우선성을 두는 ‘화해의 신학’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화해의 신학’은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과 화해를 지향한다. 교회는 성육신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을 통해 법률적 이해관계를 넘어 타자와 더불어 화해를 추구해야 할 사명을부여받았다. 교회는 화해를 실천하기 위해 부름을 받았고, 화해를 선포하기 위해 보냄받은 이들의 공동체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conversion to the reconciliation theory of Korean churches from the unification theory. The existing Korean churches and societies including the Korean government have emphasized "unification" as a whole, and as a result, the way of unification has fallen into both systemic-military competition and unification by expanding northward. However, if we look at the "New Peace Vision for the New Korean Peninsula" by the president Moon, the unification theory centering on reconciliation has begun to emerge. This study analyzes this social 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ransition from the unification-centered theology to the "reconciliation-centered" theology, and suggests the theology of reconcili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church and theology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Until now, the discussion on the theological discourse on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recognized the unification as a priority and foremost task. However, as the division situation is prolonged,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necessity for the unification is getting wider and the discourse of unification has the adverse effect of deepening the social conflict caused by the division and war trauma. The intrinsic orientation inherent in the unification discourse also reinforces the logic of the subject that suppresses the diversity of others. In this situation, the church and theology that are aiming at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need to form a "reconciliation theology" that prioritizes reconciliation rather than unification. 'Theology of reconciliation' aims at the love and reconciliation of the cross of Jesus Christ. Through the love of Jesus Christ, as the incarnate Christ, the Church has been given a mission to pursue reconciliation with others, beyond legal interests. The Church is called to practice reconciliation and is the community of those sent to proclaim reconcil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