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계넘기의 다양성과 젠더수사학: 이제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The Diversity of Crossing the Boundaries and Gender Rhetoric: Focusing on Jeha Lee’s Early Novel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5.09
27P 미리보기
경계넘기의 다양성과 젠더수사학: 이제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9권 / 3호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오은엽

    초록

    본 연구는 이제하가 문학과 미술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내는 텍스트의 수사학적 전략을 젠더수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제하가 보여주는 금기로부터의 일탈은 당대의 여성인식과 젠더이데올로기 대한 도전과도 관련된다. 이제하의 초기 소설 중 「황색의 개」와 「손」은 작가에게 영감을 주었던 화가들의 그림과 상호텍스트적인 특성을 보인다. 두 작품은 전후의 부조리한 삶에 대한 의식을 주제로 하고 있다. 또한 폭력의 문제를 남성/여성의 관계로 압축하여 ‘전경’화된 여성의 모습과 가부장제적인 남성성에 균열이 가해지는 양상을 보여준다. 회화에서 차용한 모티프와 초현실적인 여성 이미지의 중첩은 독자들의 사고를 육화시켜 전후문학의 추상성을 극복하게 한다. 이제하는 주로 회화적인 것의 글쓰기를 통해 수사학적 전략을 획득해간다. 「자매일기」, 「유자약전」에서는 미술의 수사학적 특징을 전유하여 언어의 한계를 초월하고자 하는 작가의 욕망을 엿볼 수 있다. 두 작품에서도 개인의 자유와 예술적 상상력을 억압하는 권력 구조는 남성/여성 간의 사랑, 폭력, 성의 문제로 구체화된다. 여성인물들은 남성 지배적인 규범에 의해 고착된 젠더 이데올로기로부터 일탈하여 내면의 공간인 ‘배경’을 만들고 이에서 축적된 자기 반성력과 성찰의 힘을 통해 젠더 위계를 바꾸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유자’라는 여성 인물과 관련된 초현실적 이미지는 가시적/비가시적인 세계, 사고/물질, 죽음/삶의 경계를 지운다. 이로써 이제하는 인간과 세계를 자유롭게 소통시키려는 상상력의 확대 과정을 보여준다. 초기 소설에서 보이는 젠더 수사의 전복적 특징은 가부장제 질서의 억압으로부터의 여성 해방 자체를 목표로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제하가 창조해낸 여성 이미지와 ‘배경’의 힘은 자아의식의 경계를 확대하고, 심미적 자유를 추구하는 창작 과정을 통해 삶과 세계를 변화시키려는 작가의 의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ses that the rhetorical strategy of Jeha Lee’s texts created by interaction of literature and painting in the view of gender rhetoric. The deviation from taboo showed by Jeha Lee relates to prejudice about the contemporary women and defiance against gender ideology. 「A Yellowy Dog」 and 「Hand」 are Jeha Lee`s Early Novels, which are also texts to communicate with a few pictures that gave Jeha Lee a particular inspiration. Both of works have the subject about the absurd life after Korean War. In addition, those two texts describe an aspect in which problems of violence condense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nd male, which makes female character a ‘foreground’ and cracks patriarchal male characters’ identities. Overlapping the motive brought from pictures with the surreal female character’s image makes the readers illustrates their own thoughts, which encourage postwar literature to overcome the literary abstraction. Jeha Lee has mainly obtained his rhetorical strategy by writing pictorial things. In 「A Diary of Sisters」 and 「Yu-ja Yak Jeon」, the writer reveals that the purpose lets the texts overcome the limit of language using his own pictorial features of rhetoric. Those two works embodies the structure of power to oppress human-being’s freedom and artistic imagination as the issues of love, violence and sex between female and male. Creating their own inner space ‘background’, the female characters deviate from gender ideology fixed by patriarchal rules and try to change gender hierarchy by piling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The surreal image created by the female character Yu-Ja erases borders of the visible/invisible world, the idea/material, and depth/living. In this way, Jeha Lee shows the expand process of imagination which makes human-beings communicate with society. In his early novels, overthrown gender rhetoric features don’t aim the emancipation of women against patriarchal suppression. The female image and scenery in Jeha Lee’s texts empowers him to expand border of his self-consciousness and reveals his will that can change lives and world through process of creation where he has sought esthetic free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