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환의 시대와 젠더: 상품의 생산을 넘어 삶의 생산으로 (The Era of Transformation and Gender: Beyond Commodity Production Towards Life Produc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4
28P 미리보기
전환의 시대와 젠더: 상품의 생산을 넘어 삶의 생산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여성학연구 / 33권 / 1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안숙영

    초록

    오늘날 우리는 ‘전환의 시대’를 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새로운 대안적 생활양식의 탐색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환의 시대를 젠더 관점에서 조망하며 서로와 자연에 대한 돌봄을 중심에 놓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방안을 찾아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가운데, 이 논문은 ‘상품의 생산’에 바탕을 둔 ‘제국적 생활양식’으로부터 ‘삶의 생산’에 바탕을 둔 ‘연대적 생활양식’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으로, 삶/생명/생활을 유지하고 창조하는 자급 활동으로서의 돌봄 노동의 의의와 이의 평등한 분배를 전환의 핵심에 위치 지움으로써 코로나19 이후 전환의 시대에는 이윤 극대화가 아니라 좋은 삶의 추구로 방향을 돌려야 한다는 점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전환의 시대를 해석하는 다양한 논의들을 소개하는 한편으로, 전환의 시대를 젠더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다. 이어지는 3장에서는 상품의 생산과 이에 초점이 맞춰진 제국적 생활양식이란 무엇이며 젠더 관점에서 볼 때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4장에서는 대안적 생활양식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삶의 생산과 이에 초점이 맞춰진 연대적 생활양식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를 실현해 나갈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 해당하는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언급하며 마무리한다.

    영어초록

    Toda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ransformation.’ Go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voices are growing who say that we must move on to exploring a new alternative mode of living. The most urgent thing is to look at the era of transformation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to find a way to create a society that places care for each other and nature at the center.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eed for a shift from an ‘imperial mode of living’ which is based on ‘commodity production’ to a ‘solidarity mode of living’ which is based on ‘life production.’ By locating the significance of care work as subsistence activities, which maintain and create life, and its equal distribution at the core of the transformat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we have to turn to the pursuit of a good life rather than maximizing profits in the era of transformation after COVID-19. To this end, Chapter 2 introduces various discussions that interpret the era of transformation, while mentioning the need to view this transformation from a gender perspective. Chapter 3 critically examines what commodity production means, which the imperial mode of living is focused on, and what its limitations are, from a gender perspective. Furthermore, Chapter 4 explores the meaning of life production, which is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for the mode of living, and what a solidarity mode of living is, and how to realize it. Finally, in Chapter 5, which is the concluding remark, the discussions so far are briefly summariz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ketc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