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의 상황을 넘어선 그리스도의 현실, 칼 바르트 신학의 기여 (Contribution of Barth’s Theology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Divided Na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9
40P 미리보기
분단의 상황을 넘어선 그리스도의 현실, 칼 바르트 신학의 기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45호 / 85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상은

    초록

    반세기가 넘는 분단의 현실 속에 통일의 미래를 지향하는 한국교회는 대립과 분열을 넘어선 화해의 신학을 지향하고 통일의 초석을 놓아야 할 요청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2차 세계대전이끝난 후 동-서 냉전이 진행되던 가운데 칼 바르트의 화해론적 신학은 우리의 신학적 현실에 중요한 지침을 준다. 냉전 초기 바르트의신학의 행로에 대한 많은 질문과 비판이 있었다. 그로부터 반공주의적 비판을 기대했던 많은 이들이 바르트의 중립적 행동에 비판을 가하기도 했으며, 바르트 스스로도 특정 진영논리에 휘말리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그의 신학은 이미 어떤 한 진영의 논리로 묶어둘 수 없는 성격을 담지하고 있었다. 바르트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오히려인간의 어떠한 현실에 구애되지 않는 그리스도의 화해론적 현실이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바르트가 전개했던 그리스도의 화해론 현실이 전후 독일의 상황 속에서, 그리고 분단의 현실 속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하는 점을 질문할 수 있다. 본문은 특히 바르트가 주도했던 바르멘 신학선언(1934)과 다름슈타트 선언(1947)이 냉전과분단의 시기에도 신학적 이정표로 작용하며 동-서독 양쪽 사회에 큰영향을 끼쳤던 사실을 고찰하고자 한다. 바르트의 신학은 현실 너머에 있는 미래지향적 성격을 담고 있었다. 바르트의 신학이 담고 있는 이러한 성격의 고찰을 통해 분단의 극복을 지향하는 한국교회의신학을 위한 지향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For the church of Korea, it is an urgent task to present a vision of theology of reconciliation to its country which has been divided as the north and the south for more than a half century. How can Korean church present its people a better way to reach the reconciliation, overcoming the conflicts and hostiliti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Regarding this question, Barth’s theology of reconciliation can provide a direction in finding an answer. During the cold war period, Barth had to face many questions and criticisms because he did not show a clear stance on the communism of the eastern block. In fact, he criticized many times not only eastern countries but also policies of western countries at the same time. For him, it was not the essential question to which block he belonged; he made effort to proclaim the reality of Christ’s suffering from the evil in the world. Regarding the situation of division, he wished also that the power of reconciliation dominate the divided nations, eliminating the hostilities between the people in the divided countries. On one hand, this attitude is enabled by his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nation, which is dealt in his lectures “Justification and the Law” (1938) and “Christian Community and Citizen Community” (1947). In these lectures, he emphasized that there was only one center both for the church and for the world, namely the Christ. This idea was suggested in the Barmen Declaration. During the cold war, he made it concrete that the theology of reconciliation could shed light on the future even though the contemporary world was afflicted with the doomed prospect. Hence, with the study of role of Barth’s theology in the situation of the divided Germany, we can attain a way to reconciliation in Korea. Especially, this thesis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the Darmstadt Declaration (1947) and Barmen Declaration (1934)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Germany with more analysis on the eastern 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