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Beyond Criticism and Recriticism on Eurocentric History of Worl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0.06
29P 미리보기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39호 / 216 ~ 244페이지
    · 저자명 : 강성호

    초록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세계사에서 동아시아를 강조하는 프랑크와 캘리포니아학파의 견해와 라틴아메리카의 근대성/식민성 연구그룹을 구체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프랑크는 I. 월러스틴의 자본주의 세계체제론를 비판하면서 근대이전에도 세계체제가 오랫동안 존재했으면, 1400-1800년까지 아시아가 세계체제의 중심이었다고 주장하였다. 프랑크는 마르크주의 역사가들의 유럽중심주의 역사가 유럽예외주의에 불과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프랑크는 아시아를 세계사속에서 복원하는 데 기여를 했으나,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중국 중심의 아시아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그의 입장은 자본주의 세계체제내의 내적 구조변혁과 결합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신자유주의 자본논리를 강화시킬 소지를 안고 있기 때문에, 자본주의 세계체제 내부의 계급적, 구조적 모순을 해결할 방향을 동시에 모색해나갈 필요가 있다.
    라틴아메리카 근대성/식민성 연구그룹은 아니발 끼하노, 엔리크 두셀, 월터 D. 미뇰로 등이 중심이 되어 포스트 콜로니얼리즘과 세계체제론이 유럽중심주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대안으로 ‘권력의 식민성’, ‘트랜스 모더니티’, ‘변경사유’ 등을 주장하였다. 이 그룹의 문제제기와 연구성과와 활동은 포스트 모더니즘과 포스트 콜로니얼리즘같은 서유럽에서 수입된 학문체계에 내재된 유럽중심주의적 사고를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나가는 도움이 된다.
    라몽 그로스포구엘은 이 연구 그룹의 이론을 미국의 자치령인 푸에르토리코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월러스틴과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 모두를 비판하면서 인종적/민족적 하위 주체관점에서 “급진적, 보편적, 탈식민적, 반자본주의적 다양성”을 향해 나아가는 새로운 급진적 탈식민적 비판관점을 세워, ‘비판적 세계시민주의(a critical cosmompolitanism)'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그는 끼하노의 ‘권력의 식민성’ 이론과 부르디외의 ‘상징적 자본’ 이론을 미국자치령인 푸에르토리코에 적용해서 사용하였다. 그는 미국의 지구적 차원의 ‘상징적 자본전략’은 타이완이나 한국같은 동아시아의 기적을 설명하는 좋은 이론적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라틴아메리카 연구자인 안태환은 그로스포구엘이 제기한 ‘비판적 세계시민주의’는 관념적이고,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을 비판하지만 여전히 그 범주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안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한국서양사학계에서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시작된 것은 최근이다. 1990년대에 세계체제론 연구로 그 물꼬가 트이기 시작했고, 2000년대 초부터 개별적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다가, 2006년 한국서양사학회 유럽중심주의 세계사 학술대회를 전후로 하여 급속도로 활성화되었다. 이후 세계사에 대한 많은 학술대회, 연구, 번역, 그리고 관련 기관들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이 한계가 있다는 반비판도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한국서양사학계는 이러한 반비판을 염두에 두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새로운 세계사를 정립해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공동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sed criticism and recriticism on Eurocentric history of world mainly since 2000. This paper treats with two parts about A.G. Frank's Reorient and 'Modernity/ Colonial research Group in Latin America'.
    A. G. Frank had tried to make his own perspective of 'the global history,' criticizing the eurocentric interpretation of I. Wallerstein. He had suggested his new these that the world economy and the world system were not formed around Europe but Europe joined lately the exiting the world economy and the world system. Frank insisted that this euro-centric views of Marxism was "Orientalism painted red", depending on Teshale Tibebu.
    In 1998 Frank had published Reorient that analyzed the world economy between 1400 and 1800. First, he urged that the core of world economy between 1400 and 1800 was not Europe but Asia, especially China. Second, he thought that Europe could rise as a new center of the world economy because Europe had the advantage of "backwardness" afforded by their position at the (semi-)periphery of the world economy. Third, h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revival in and world impact of East Asia(Japan, Korea,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and forecast that "the West and the East will again trade places in the global economy and in world society."Frank's new approach to these "global world history" may be a great step to overcome the existing euro-centric world history. But there are several obstacles for Frank's the global world history to be an alternative. First, he neglects concrete researches on certain important time and region or country, emphasizing too much "the holistic and universal global history." Second, he tends not to pay enough attention to the internal historical mechanisms and differences of certain regions and certain countries, stressing on the external relation and the globally horizontal connection between parts and parts of world. Third, it is a reflection of the existing Eurocentric interpretation of East Asia for Frank to see East Asia focusing on only China and Europe which have a direct trade relation with Europe.
    'Decolonial Group' such as E. Dussel, Anibal Quijano, and Walter D. Mignolo has criticized 'dependency theory', 'theory of world system', 'post-modernism,' and 'post-colonialism.' R. Grosfoguel, one of 'Decolonial Group', has introduced Decolonial Group's theory into the U.S.A. and has tried to synthesize it and add new elements to it. Grosfoguel's prospect is meaningful and important, because it criticizes severely the Eurocentric perspective and tries to suggest the alternative.
    Grosfoguel criticizes both post-coloniality and theory of world system and suggests hetearchies/coloniality/subaltern knowledge as the alternative. Postcolonial scholars emphasizes colonial culture and agency. Grosfoguel criticizes that world system theorists have difficulties theorizing culture, whereas post-colonial theorists have difficulties conceptualizing political process. Both fluctuate between the dangers of economic reductionism and of culturalism. In order to overcome danger of economic reductionism and culturalism,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eterarchies', 'coloniality of power', and 'subaltern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