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Pain of Others: To Compassion Beyond P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06
22P 미리보기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63호 / 81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지성

    초록

    이 논문은 “교육의 공적인 영역, 특히 대학에서 사회병리학적 요인인 왕따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것일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 논문은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여전히 왕따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채, 관계와 자아 정체성에 대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리고 학생들이 경험한 병적인 관계의 본질을 깨닫고 스스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는 데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논의가 도움이 되었다. 그녀는 교육의 장에서 인문학과 예술, 특히 문학을 통해 비극을 만나게 하는 일이 매우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도덕적 판단으로서의 공감이 중요하다고 제시해 왔다. 본 논문은 그녀의 방대한 관심사 중에서 ‘공감compassion’이라는 주제와 그것을 현실화하는 방법론에 관심을 두고 다뤄보았다. 누스바움은 ‘공감’이 도덕적 판단의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누구나 동의할 만한 ‘도덕적 동기moral motivation’를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바로 인간 모두가 가지고 있는 ‘상처받기 쉬운 연약함’이다. 그리고 누스바움은 이러한 특징은 교육을 통해 중요하게 동기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의 교육을 위해서 중요한 것이 문학을 접하게 하는 것이며, 문학, 특히 비극적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은 학생들에게 도덕적 상상력moral imagination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누스바움이 고민하고 있는 ‘공감’이라는 도덕적 판단은 타인의 고통을 바라보는 중요한 통찰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타인의 감정, 특히 고통에 대해 공감하기 위해서는 ‘연민’과 ‘공감’에 관한 구체적이고 적실한 구분이 필요하다. 이 논의의 선상에서 수전 손택을 제안한다. 사실 누스바움이 제시하는 교육방법으로는 현재의 교육의 장에서 ‘공감compassion’은 커녕 ‘연민pity’을 제안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한 일이다. 실제 왕따와 관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소크라테스, 타고르식의 교육은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공감’이라는 단계에 가기 위해서 그 무엇인가의 접점이 필요하다. 그것을 가능하게 한 점이 바로 ‘연민’이라는 감정이고, 그 연민을 가능하게 한 방법이 바로 ‘사진’이다. 손택이 주목한 것 처럼, 일단 고통의 이미지들을 마주하면서 최초의 충격을 함께 공유하면서 이들은 자신들의 고통을 이야기하기 시작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사회병리학적 병인인 왕따에 관한 학문적인 논의라기보다는 현장 속에서 경험한 보고서에 가깝다. 왕따가 야기한 우리 모두의 고통을,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다가가기 위한 작은 시도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tarts with the question, "how should we look at the issue of an 'Bulling', a social pathological factor in the public sphere of education, especially in college?".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tudents entering college experiencing conflict in relationships and self-identity while they are still not free from the issue of bullingt. In addition, it concentrated upon a plan in which students realize the pathological relationship they experienced and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To solve this concern, Martha Nussbaum's discussion was helpful. She has argued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make them meet a tragedy through the humanities, art, especially litera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through that, she has suggested that compassion as moral judgement is important. This paper dealt with the topic of 'compassion' and the methodology to actualize tit among her vast interests placing emphasis on it. Martha Nussbaum argued that 'compassion' should suggest 'moral motivation' that anyone could agree to fulfill the required conditions as a moral judgement. This is the very 'vulnerability' In addition, Martha Nussbaum saw that this feature could be significantly motivated through education. Moreover, she argues that for this education of emotions, it is important to make students meet literature and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tragic narratives, which could give them moral imagination.
    The moral judgment of 'compassion' with which Martha Nussbaum is concerned is surely an important insight to look at the pain of others. And yet, to empathize feelings of others, especially suffering, the specific and accurate classification of 'pity' and 'compassion' was necessary. On the extension of this discussion, Susan Sontag was suggested. In fact, it is impossible to propose 'pity' far from proposing 'compassion' in the current field of education with the teaching methods proposed by Martha Nussbaum. Actually, there were limitations of Socratic and Tagorean education for the students related to bullings. Especially, to go to the stage, 'compassion', a point of contact of something was necessary. The point that made it possible was the emotion of 'pity', and the method that made the pity possible was 'photography'. As Susan Sontag noted, while facing images of pain and sharing the first shock together, they could talk about their pain.
    This paper is close to a report experienced in the field rather than an academic discussion of bullings, a social pathological factor, It is a small attempt to approach with compassion beyond pity to pains of us all brought about by bul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