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혐오를 넘어 환대로 (To Welcome beyond Hatre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혐오를 넘어 환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學硏究 / 30권 / 287 ~ 320페이지
    · 저자명 : 박혜순

    초록

    혐오는 개인의 삶을 파괴하고, 사회의 분열을 조장하고, 공동체의 평화와 조화를 해치는 사회악이다. 이런 현상은 다름을 긍정하지 못하고 차이를 차별하는 데서 시작된다. 차이는 각자에게 부여된 고유성, 개별성, 독자성, 특이성으로 유일무이하고 대체 불가능한 저마다의 특징이다. 그런데 여기에 우열이라는 사회적 가치 개념이 투영되면 이러한 특징들은 고유한 의미를 상실하고 강자와 약자, 지배자와 피지배자라는 수직구조로 분류되고, 혐오는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공략한다. 나는 혐오가 주로 사회적 약자층에 집중되는 현상에 주목해서 이 문제를 상류와 하류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혐오는 상류 지향적 사회문화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유가를 포함한 주류 철학 전통은 상류를 지향하는데 반해서 도가는 하류를 지향한다. 이 글에서는 혐오를 넘어 환대로 가는 모델을 <도덕경>의 강이나 바다와 같은 하류에서 발굴한다. 노자 철학에서 하류는 차이에 대한 조건 없는 수용과 다름을 긍정함으로써 공존의 도를 실현하고 있다. 그리고 하류에 내포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류는 무한한 포용력을 지니고 있다. 둘째 하류에서 천하 만물의 사귐이 이루어진다. 셋째 하류에서 새로운 생명력과 문화가 창출된다. 이에 하류의 철학을 하나의 문화적 대안으로 삼는다면 혐오와 같이 공존을 해치는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영어초록

    Hatred is a “social evil” that destroys individual lives, promotes social divisions, and damages societal peace and harmony. This phenomenon stems from discrimination against differences, as opposed to acceptance of differences. Differences are unique and irreplaceable to each and every individual with their own uniqueness, individuality, and specificity. However, when a social value of superiority/inferiority is projected, these characteristics vanish and are divided into vertical structures of strength and weakness, where hatred targets the weak in society. I believe hatred in this context is not a personal emotion, but a form of distorted group thinking. As hatred mainly targets the weak by the strong in any society, I shall approach the issue from an upstream and downstream perspective, whereby upstream and downstream are metaphors for the strong and the weak in society, respectively. Hatred is an inevitable problem in an upstream society. As you will see, most mainstream philosophies, including Confucianism, move upstream, while Daoism move towards downstream. What I suggest in this article will go beyond hatred and introduce the notion of “unconditional welcoming” that stems from rivers and oceans in the context of "Dao De Jing". In Daoism, downstream achieves the coexistence of Dao through unconditional acceptance of differences and the inclusion of diversity. Characteristics of “downstream” are as following: Firstly, it contains an infinite capacity for inclusion. Secondly, it is where all participants of nature interact. Finally, it is where new vitality and cultures are created. Therefore, a downstream philosophy should be used as a cultural alternative to address the intrinsic problems, such as hatred, of a co-existential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