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자기이미지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ifestyle and Self-Image on Color Cosmetics Purchaing Behavior based on Personal Color Typ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6
17P 미리보기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자기이미지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장품미용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 14권 / 1호 / 37 ~ 53페이지
    · 저자명 : 류순희, 한지수

    초록

    자신의 고유한 신체 색상을 의미하는 퍼스널컬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퍼스널컬러의 유형을 잘 파악하여 메이크업에 조화롭게 활용한다면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은 물론 다양한 감성적 욕구충족에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퍼스널컬러 유형을 파악하고,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자기이미지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뷰티산업의 방향성 제시 및 색조화장품 제조업체 마케팅 전략의 유용한 정보 제공에 의의를 둔다. 연구방법으로 전국의 20-59세의 여성 81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n Analysis), 매개 회귀분석(Meditation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연령대는 ‘20-29세’가 30.3%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거주지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59.1%, ‘비수도권(수도권 이외 지역)’ 40.9%로 나타났다. 직업은 ‘직장인’이 40.1%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퍼스널컬러 유형, 라이프스타일, 자기이미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측정변수 간의 상관성을 알 수 있었으며, 퍼스널컬러 유형, 라이프스타일, 자기이미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간의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퍼스널컬러 유형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라이프스타일과 자기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매개변수인 라이프스타일과 자기이미지는 퍼스널컬러의 봄 유형, 가을 유형, 겨울 유형과 종속변수인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자기이미지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퍼스널컬러 유형을 잘 파악하여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및 메이크업에 조화롭게 활용한다면 개인에게 잘 어울리는 이미지 연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화장품 기업에서는 신제품 개발 시 소비자에게 퍼스널컬러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고, 매출액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향후 색조화장품 제조업체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 연구를 토대로 퍼스널컬러를 유형별로 다루는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y identifying the optimal color tailored to one's unique attributes and applying it to the management of self-image, individuals can satiate various emotional needs associated with makeup, hairstyling, and fashion, thereby attaining gratification for both their external and internal self-images. The study mainly aims to investigate how lifestyle and self-image based on personal color types affect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to offer insights for the beauty industry and useful information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color cosmetics manufacturer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816 women aged 20-59 across the country,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encompasses both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administration to capture a comprehensive dataset. To facilitate data analysis, the research employs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this duty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ing the predominant age group as "20-29 years old" (30.3%), with the majority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Incheon)" (59.1%) and comprising mostly office workers (40.1%).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lor type, lifestyle, self-image, and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identify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ub-variables.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style and self-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ring, fall, and winter types of personal color and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Therefore, by identifying personal color types and integrating them into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makeup practices, it facilitates shaping an image that best reflects one’s preferences and appearance. This implies that such practices could represent a significant resource for informing the future marketing strategies of color cosmetics manufactur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