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퍼스널 컬러가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베스트 컬러를 중심으로 - (Effect in Emotion of Children by Personal Color - Focused on the Best Color-)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11
14P 미리보기
퍼스널 컬러가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베스트 컬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색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8권 / 4호 / 25 ~ 38페이지
    · 저자명 : 정세연, 박연선

    초록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의 베스트 컬러가 학령기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한 베스트 컬러는 심리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연구문제를 제기하여 Y초등학교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5월 20일~7월 1일까지 7주간의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 검사와 미술치료기법에서 아동정서행동문제를 판별하는 투사검사도구인 인물화 그림검사(DAP: Draw A Person), 이야기 그림검사 (DAS: Draw A-Story)를 통해 사전사후 아동의 정서·행동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그림 검사지와 설문지 검사를 종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후의 인물화 그림검사(DAP)에서 남여 아동 모두 남자상, 여자상, 자기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림형태가 크고 선의 질이 좋게 나타났다. 남여 아동 모두 미숙했던 그림과 생략했던 그림이 향상된 것을 볼 때 아동이 통제감과 효능감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고, 타인과 긍정적인 교류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우기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아동이 실험을 통해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험 전후의 자아존중감 차이 검증에서 남·여 아동 모두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 전후 사회정서적 고립감 차이검증에서 남·여 아동 모두 정서적 외로움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실험 전후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통한 우울공격성 차이검증에서 아동 전체적으로 자기상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아동은 자기를 표현하고 자신의 감정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고 우울 및 공격성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실험 전체적으로 퍼스널컬러와 정서의 상관성에서 색채만족도와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색채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전체는 정(+)의 상관성이 나타나 실험에 참여했던 아동들의 만족도가 높으면 자아존중감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처음 제기되었던 연구문제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퍼스널컬러를 아동에게 적용한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되었다는 것에 시사점을 두고 앞으로 아동의 퍼스널컬러와 정서적인 측면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s of personal best colors on the emotions of school-age children. With the proposition that there will be posi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s, a seven week experiment with 31 subjects of 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held from May 20 through July 1, 2014. The DAP (Draw A Person) and the DAS (Draw A Story), projection tools to judge children's’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the questionnaire and art therapy, were giv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sums up the findings of the drawings and the questionnaire: 1. The DA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ubjects of both sexes in the images of males, females, and themselves. The pictures became bigger and the lines had better quality. The improvement in premature or omitted drawings reveals the subject children’s better senses of control and efficiency as well as their affirmative personal relationships. Also, erasion betterment accounted for their positive self-awareness and upgraded confidence. 2. As for the pre- and post-experiment self-respect sense, both sexes contained gener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As to the social and emotional sense of isol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sexes were seen except in emotional loneliness. 4. In the DAS verification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subjects expressed some significance in self-images. The subjects, therefore, had better ability of self-control and self-expression as well as lowered depression and aggression. 5. I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colors and emotions, high positivity was shown between color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The higher the children’s satisfaction, the higher their self-respect.
    These findings agreed with the proposition raised in the begin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ersonal colors were first applied to children. Further research concerning personal colors and children's emotional aspects is recomm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색채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