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상적 진술로 재현한 생태학적 전망의 가능성 연구 - 최인훈의 소설 「바다의 편지」에 담긴주술적 넋두리와 죽음 극복 (The Research on the Prosepct of Ecological Perspective Enacted through Fantastical Narration - Magical bemoaning and overcoming of death in Choi In - hoon’s novel “The letter of the S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3
30P 미리보기
환상적 진술로 재현한 생태학적 전망의 가능성 연구 - 최인훈의 소설 「바다의 편지」에 담긴주술적 넋두리와 죽음 극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문학과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환경 / 15권 / 1호 / 99 ~ 128페이지
    · 저자명 : 임도한

    초록

    이 연구는 최인훈의 소설 「바다의 편지」(2003)를 대상으로 한다. 「바다의 편지」는 일반적인 소설과 다른 점이 많다. 첫째, 인물들이 이루는 사건의 연속이 아니라 화자의 진술로 내용이 전개된다. 둘째, 등장하는 인물 곧 화자는, 독자가 현실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육체적으로 죽었음에도 살아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진술한다. 나아가 죽음과 시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시 자신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있는 존재이다. 셋째, 소설의 후반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가가 수십 년 전에 발표한 두 개의 작품에서 내용 일부를 잘라내어 조금씩 교대로 배열하는 방식을 사용한 점이다. 인용한 내용 중 하나는 시이고 다른 하나는 서술 문장이지만, 시와 마찬가지로 비유와 상징이 강하다.
    필자가 이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로서 첫째는, 작품의 중요한 부분이 시적 문장이어서 시 전공자인 필자가 해석하는데 흥미를 느꼈기 때문이고 둘째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시대적 메시지를 들을 수 있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시인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내용이 작품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 주장은 생태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생태시인의 은유적 진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필자의 기존 주장과 같은 맥락이라 판단한다.
    죽음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상의 진리를 깨우친 존재의 부활을 주장하는 내용은 일반적인 현실 속에서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죽은 사람들의 넋두리와 같은 여러 목소리가 혼선을 이루면서 제시되고 이른 통해 연출126 문학과 환경 15권 1호된 환상적 분위기가 작품 특유의 메시지를 수용하게 만든다.
    소설이지만 시와 같은 은유적 진술을 통해 쉽사리 제시하기 힘든 전망을 그럴듯하게 재현한 점이 이 작품의 성과인 것이다. 한계를 극복하는 힘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사람에 대한 사랑에서 끌어온 것도 이 작품에 힘을 실어 준다.
    이 작품의 특성이자 성과는 두 가지이다. 첫째, 인간이 맞이할 수밖에 없는 죽음의 한계와 현실의 부정적 측면을 마음껏 비판하고 극복하기 위해 시적 진술을 활용하여 내용을 전개한 점, 둘째, 그 결과 시인이 언뜻 언뜻 파악하는 세계의 섭리가 시인의 개인적 인식에 그치지 않고 시간과 역사적 한계를 넘어 전해온 누군가의 인식일 수 있음을 암시하면서 시적 진술의 예언적 의의에 힘을 실어준 점이다. 이 두 번째 성과는 생태시인의 역할을 환기시키는 효과도 거두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novel “Letter of the Sea” by Choi In-hoon. The novel contains a number of peculiarities as fiction. First, the story is told through the protagonist’s narration, devoid of a series of events and characters. Second, the narrator,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thinks and tells the story as if he is alive, although he has physically died and readers cannot experience him in real life. Furthermore, he leaves room for the possibility that he overcomes death and temporal limitation to be reborn. Third, the author uses his previous works from years ago and juxtapose them in the latter half of his novel. One work cited in the novel is a poem while the other is his writing that emphasizes poetic symbolism.
    I chose Choi's work for my research because, first, as a expert in poetic analysis, I found it interesting to analyze the work whose critical component is poetic in nature. Second, the work highlights generational message to overcome crisis and the importance of poets in delivering such message. I access that it is in the same context as my previous argument that ecological poets’ metaphorical narration is critical in resolving ecological 128 문학과 환경 15권 1호crisis.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wholeheartedly embrace the idea of rebirth of a character who overcame death and realized the universal truth. However, the novel’s fantastical component created by the dead’s complaints, along with crossing of mystical voices, allows readers to accept such peculiar message.
    Thus, one of the biggest accomplishments of the work lies in its enactment of this unbelievable perspective as a fiction through poetic metaphorical narration. The fact that the protagonist draws its power to overcome limitations from one’s longing for mother and love towards humanity further adds significance to this work.
    There are mainly two characteristics and accomplishments of this novel. First, it effectively employs poetic narration to freely criticize and overcome unavoidable death faced by humans and negative aspects of life. As a result, it adds significance to the poetic narration by implying that the poet’s intermittent realization of the world’s providence is not a epiphany of an individual, but in fact an inherence from and accumulation of the predecessor’s awareness going beyond temporal and historical limitations. Second, it reminds us all of the important role of eco-po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