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기반학교폭력 소재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한․중 대학생의 문화적 경험과 인식 분석 -드라마 <더 글로리>와 영화 <소년시절의 너(少年的你)>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Media Contents Using SNA(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Drama and Film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9
40P 미리보기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기반학교폭력 소재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한․중 대학생의 문화적 경험과 인식 분석 -드라마 &lt;더 글로리&gt;와 영화 &lt;소년시절의 너(少年的你)&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77호 / 215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유정, 서영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학교폭력에 대한 한국과 중국 국적 대학생의 문화적 경험과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 텍스트는 한국 대학생 43명과 중국 유학생 27명의 학교폭력 소재 한․중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감상 글쓰기 문서이다. 한국 드라마 <더 글로리>는 넷플릭스의 화제작으로 현실의 학교폭력을 주요 소재로 구성한 드라마로 방영 후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은 드라마이다. 중국 영화 <소년시절의 너(少年的你)>는 2019년에 개봉한 청춘 영화로 학교폭력을 둘러싼 청춘 세대의 이야기를 중심 서사로 한다. 두 작품 모두 학교폭력을 중심 서사로 한 점에서 한․중 양국에서 매우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를 활용하여 한중 양국 대학생의 글쓰기 문서를 분석한 결과, 한국 대학생은 ‘복수의 통쾌감, 가해자 처벌 강화의 정서적 공감’, ‘피해자 보호, 예방의 사회 도덕적 인식’, ‘중국영화의 정서 공감과 사회 비교’, ‘영화 결말에 대한 긍정적 정서 공감’의 정서적 공감과 인식 주제군이 도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 대학생은 ‘가해자 처벌의 사회 비교 인식’, ‘주인공 학교폭력 피해의 사회 비교’, ‘계급, 가정환경의 학교폭력 원인 인식’, ‘학교폭력 대응과 예방의 사회의식’의 사회 비교와 인식 주제군을 확인하였다. 한․중 대학생이 작성한 텍스트 분석 결과를 비교하면, 가해자 처벌에 대한 인식이 가장 많았고, 피해자 보호와 학교폭력 대응, 예방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도덕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차이점은 한국 대학생의 경우,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분노, 피해자에 대한 안타까움, 슬픔 등 정서적 공감이 가장 많은 데 비해 중국 대학생은 사회 비교의 인지적 공감과 사회 인식을 더 많이 보였다.
    학교폭력 대응 및 예방 교육과 타 국가의 사회 문화 이해에 있어 미디어 콘텐츠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 점에 연구 의의가 있으며, 일부 대학생 집단의 분석이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는 점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상세한 분석 모집단 설정과 통제를 갖춘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bout school violence in the medi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text is a writing document on Korean-Chinese media content based on school violence by 43 Korean students and 27 Chinese students at H University in Daeje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s, was used to analyze the experience, percep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content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bout school violence. Korea Drama <The Glory> is a popular Netflix drama that has gained high popularity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e Chinese film <Better Days> is a youth film focuses on the story of the youth generation surrounding school viol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d experiences and recognition topics such as "emotional empathy and perception of revenge, strengthening offender punishment," "social moral perception of victim protection and prevention,"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comparison awareness" and "positive emotional empathy for Chinese film endi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d social comparison and perception topics such as "awareness of Korean-Chinese social comparison of perpetrators' punishment," "awareness of class and family environment as the cause of school violence," and "social awareness of school violence response and prevention." Comparing the results of text analysis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re was the most awareness of punishment for perpetrators, and social empathy and moral awareness for victim protection, school violence response, and prevention were high. The difference is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most emotional empathy, such as anger at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regret for victims, and sadness, whil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howed more cognitive empathy and social awareness of social comparis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media content to education prevent of school violence and understanding of other country social culture.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because it is an analysis of some University student groups. This will be supplemented by subsequent studies with detailed analytical settings and contr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