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트뤼브너 조상비(造像碑, the Trübner Stele)의 진위 논쟁 재고(1) ―조상기(造像記)와 문헌 및 금석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f the Authenticity over the Trübner Stele (I): Focusing on the Dedicatory Inscription and the Literary and Epigraphic Eviden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5
40P 미리보기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트뤼브너 조상비(造像碑, the Trübner Stele)의 진위 논쟁 재고(1) ―조상기(造像記)와 문헌 및 금석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7호 / 246 ~ 285페이지
    · 저자명 : 하정민

    초록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내 아시아관에는 높이가 308cm에 달하는 대형 불교 조상비가 전시되어 있다. 이 조상비는 〈트뤼브너 조상비(the Trübner stele)〉로 불리는데, 이전 소장자였던 외르그 트뤼브너(Jörg Trübner, 1902?-1930)의 성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명문에 의하면 이 조상비는 북위(北魏) 영희(永熙) 2년(533)에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동위(東魏) 무정(武定) 원년(元年, 543)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트뤼브너 조상비〉는 구미의 여러 유명 미술관에 소장된 중국 불교 조각들 중에 가장 논의가 분분한 예 중 하나이다. 이 조상비는 6세기 불교 조각의 가장 중요한 명작으로 높이 평가받기도 했으며, 동시에 20세기 초의 위작이라고 폄하되기도 하였다. 특히 〈트뤼브너 조상비〉 정면의 많은 부분이 보수되면서 원형을 잃고 다시 조각되었다며 그 의미가 축소되기도 했다.
    〈트뤼브너 조상비〉를 둘러싼 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간단하지 않지만, 중국 불교미술 연구사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구미(歐美)의 중국 조각 컬렉션의 역사와 의미를 조명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이 조상비의 정면과 뒷면에 새겨진 조상기와 여러 제명(題名)들을 6세기 중엽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과 대조해 보는 것이다. 다음은 조상비에 새겨진 불·보살상의 도상과 양식, 조각의 주제 및 화면 구성과 배치 등을 마찬가지로 6세기 중엽 전후 중국의 불교 석굴, 조상비 및 단독 조상(造像) 등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들과 비교함으로써 미술사적으로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 조상비의 정면 조각의 표현에 대해서는 진위 여부에 논란이 많았다.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조상기의 내용 및 서체(書體)에는 그간 특별히 논란이 제기되지않았다. 그러나 이 조상비를 건립한 주요 공양자(供養者), 이와 관련된 이 조상비의 명칭, 그리고 이 조상비가 원래 세워졌던 지역 및 사원명(寺院名) 등과 관련해서 논란이 있는 부분이 적지 않으므로, 조상기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트뤼브너 조상비〉의 명문을 자세히 조사하여, 기록된 공양자의 인명과 관직명, 그리고 원래 위치에 관해 알려 줄 수 있는 지명 등이 6세기 중엽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과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밝힌 글이다. 따라서 이 조상비의 명문 부분만으로 판단한다면 〈트뤼브너 조상비〉는 6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진작(眞作)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트뤼브너 조상비〉를 건립하는 데에 가장 중요하게 기여한 공양자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이도찬(李道 贊), 혁련자열(赫連子悅), 무맹종사(武猛從事) 등 다양한 의견이 있다. 이 조상비의 원래 위치 및 관련 사원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으나, 대체로 하남 북부의 기현(淇縣) 부근으로 그 범위를 좁혀볼 수 있다.
    조상기와 제명 등 조상비에 기록된 명문은 6세기 중엽 무렵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기록을 잘 담고 있다. 이 명문이 틀림없이 6세기 중엽경 제작된 진작으로 판단됨에 따라 〈트뤼브너 조상비〉의 진위 문제 중 절반 정도는 해결된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명문 관련 논의의 진행만으로는 이 조상비의 진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 〈트뤼브너 조상비〉의 진위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조상비에 새겨진 불·보살상과 여러 인물들 및 장식 요소 등을 미술사적으로 상세히 분석해야 한다. 필자는 〈트뤼브너 조상비〉는 6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원작이 이후 어느 시기엔가 보수되면서 재조각되어 다시 봉안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별고를 통해 다룰 생각이다.

    영어초록

    A large Buddhist stele, called “the Trübner stele” named after Jörg Trübner (1902–1930), its former owner and an art dealer, is displayed at the gallery for Chinese Buddhist art on the second floor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carved on the front and obverse sides of the stele, its creation began in 533 during the Northern Wei dynasty (386- 534) and was completed in 543 during the Eastern Wei dynasty (534-550). The Trübner stele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hinese Buddhist sculptures housed in several renowned art museum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as the most important masterpiece among Chines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sixth century, disparaged as a forger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r even disregarded for having been considerably recut and restored.
    The effort to resolv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rübner stele is not that simple, but the issue is crucial not only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art, but also in illuminating the history and contribution of the collections of Chinese sculptur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Such investigation can be carried out in two main ways. The first is to compare the names of men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stele, their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carved in the dedicatory inscription of the stele to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of the mid-sixth century. Secondly, visual imageries carved on the stele, such as Buddhas, bodhisattvas, other figures, and ornamental elements should also be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form, style, and iconography, using visual elements from Buddhist caves, Buddhist steles, and freestanding sculptures in China from the sixth century.
    In contrast to the controversy over the authenticity of the sculptures carved on the frontal surface of the stele, little question has been raised over the contents and calligraphic style of the stele’s inscrip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inscription, sinc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main contributor of the stele, the original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temple wherein it was originally establish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dicatory inscription on the Trübner stele and reveals that the names of patrons, their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are in good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of the mid-sixth century. Thus, it can be an important clue in locating the original location. Accordingly, this stele can be considered a genuine Buddhist sculpture produced in the midsixth century.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who contributed the most to the construction of the stele, including Li Daozan, Helian Ziyue, or the wumeng congshi. There is also disagreement about the original location of this stele and the associated temple, but it cannot be determined accurately at this point. In general, the area can be narrowed down to the northern part of the Henan province near Qi County.
    Since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rved on the stele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mid-sixth century, the inscription itself can be regarded as a genuine work created at that time. Thus, at least half of the issue regarding the authenticity of the Trübner stele appears to be resolved. Nevertheless, these discussions over the dedicatory inscription alone does not fully address the issue of authenticity over the stele.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oversy, it is fundamental to closely examine Buddhist imageries and other visual elements carved on the stel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enuine piece of the Trübner stele was created in the sixth century, but the frontal surface of the stele had been substantially damaged and thus had to be recarved and rededicated at some point to be the present form of the Trübner stele. I would like to proceed with this argument through a separate paper.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