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야기 당사자가 등장하는 연극 무대에서의 실재 -네지 피진 <모티베이션 대행>(2012)과 크리에이티브 바키 <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2014)을 중심으로 (The Real of Staging Real People -A Study on Pijin Neji’s the Acting Motivation and Creative VaQi’s The Conversa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06
29P 미리보기
이야기 당사자가 등장하는 연극 무대에서의 실재 -네지 피진 &lt;모티베이션 대행&gt;(2012)과 크리에이티브 바키 &lt;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gt;(2014)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55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슬기

    초록

    본고는 일상의 평범한 사람들이 무대에 등장해 관객들에게 그들의 삶을 전달하는 연극들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작업들은 실제 사람들과 그들의 경험, 그리고 그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들을 통해 극장 밖 현실을 드러낸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연극적 실천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다큐멘터리 연극이라는 문제틀을 넘어 ‘실재의 연극’ 개념을 제안한다. 이러한 양식의 연극들은 실재와 허구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다양한 기술에 힘입어 개인의 서사가 널리 유포되거나 소비되는 동시대 매체 환경을 전제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네지 피진의 <모티베이션 대행>(2012)과 크리에이티브 바키의 <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2014) 두 가지 사례를 통해 연극이 실재를 무대화하는 전략을 분석한다. 이 연극들은 이야기 당사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드라마투르기를 결정하고, 다양한 물건들을 활용해 그들이 살면서 몸에 익혀온 습관적 행위를 반복하게 함으로써 무대의 시노그라피를 구축한다.
    이때 퍼포머들이 수행하는 것은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맥락의 연기로 해석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들이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연구 과제가 제기된다. 실재의 연극은 살아있는 경험을 통해 일상과 사회를 매개하고, 이로써 단순한 미학적 이론이 아닌 수행적 실천으로 거듭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focuses on the theatres in which ordinary people appear on stage and speak to spectators about their own life stories. These productions reveal the reality outside theatre by relying on real people, their experiences, and the objects they use in everyday life.
    Going beyond the frame of documentary theatre, this thesis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is practice in contemporary theatre by adopting the “Theatre of the Real” concept. I argue that this style of theatre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ulture’s new media environment;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is blurred with the rise of various interactive and mobile technologies, personal narratives, more than ever, are broadcasted, curated, and consumed.
    I present two case studies and an analysis of staging strategies that are intrinsic to theatre to demonstrate how a theatre of the real can transform the perception of the real: Pijin Neji’s The Acting Motivation(2012) and Creative VaQi’s The Conversations(2014). In these two productions, the dramaturgical strategy i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scenography is constructed by performing their daily practices with a wide range of object.
    In a theatre of the real, the performativity of the real people who convey their own experience onstage has transcended the conventional frames of acting. Therefore it is requested to investigate various contemporary theatre productions to examine how the performers identify themselves in their own way. I believe theatre of the real is not only an aesthetic theory but also a performative practice as it embodies the ways in which theatre mediates the everyday life and the society through the lived experience of particip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