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분석학적 성 담론과 미술작업에서 보는 ‘여성성의 기입’: 프랑스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리 크래스너와 헬렌 프랑켄탈러의 회화 (Sexual Discourse in Psychoanalysis and ‘Inscription of Femininity’ in Artworks: French Feminist Reading of the Paintings of Lee Krasner and Helen Frankenthal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5.02
28P 미리보기
정신분석학적 성 담론과 미술작업에서 보는 ‘여성성의 기입’: 프랑스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리 크래스너와 헬렌 프랑켄탈러의 회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62호 / 27 ~ 54페이지
    · 저자명 : 전영백

    초록

    리 크래스너와 헬렌 프랑켄탈러는 20세기 중반 뉴욕 추상표현주의에 중요한 기여를 한 여성 작가들이다. 당시 여성에 대한 편견은 뉴욕의 모더니스트 공동체 내에서도 크게 작용했기에, 남성주도적 미술담론에서 이들의 회화는 주변적으로 인식되거나 남성작가들과의 관계성 안에서 부각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 성 정체성에 근거한 모더니스트 주체와 이분법적 시각체계에 저항하며, 유동적이며 복수적인 여성성의 차이를 추상표현주의의 미적 의미망에 기입했다. 크래스너의 경우, 단일적이고 고정된 이미지에 반(反)하는 다양한 회화, 평면의 균질성을 해체한 콜라주 작업, 그리고 확장된 신체 공간으로의 대형 회화작업을 통해 기호적 창작 행위를 보여주었다. 프랑켄탈러는 ‘스며들기-얼룩’ 기법으로 추상표현주의 주류언어에 중요하게 개입했으며, ‘창조적 여성 신체’로서 회화면과 전면적 관계를 갖고 미처 가시화되지 못한 여성적 차이를 스며들고 얼룩지는 색채의 기호로 표상한 것이다. 크래스너와 프랑켄탈러는 작가주체의 근본적 여성성과 사회적 ‘명명(naming)’ 사이에서 분투해야 했고 이를 그들 앞에 놓인 캔버스에서의 지극히 물질적이고 회화적인 실천으로 투사한 것이다. 본 논문은 과거 모더니즘 미술사의 서사에 기록된 크래스너와 프랑켄탈러의 회화를 돌아보며 동시에, 1968년 이후 자크 라캉의 주체 이론에 영향을 받은 프랑스 페미니즘의 사유를 기반으로 두 작가의 여성적 차이와 그 표상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작품 분석뿐 아니라 작업 중 여성 신체가 갖는 정신분석학적 함의를 통해 회화작업과 연관하여 탐색한다. 회화 언어에서의 ‘여성적 기입’은 프랑스 페미니즘 철학에서 제시하는 아방가르드의 ‘여성적 쓰기’와 상통한다는 점을 전제로 삼는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Lee Krasner and Helen Frankenthaler were pivotal female artists who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mid-20th-century Abstract Expressionism. During this time, gender biases in the New York school marginalized their works, recognizing them only through their ties to male contemporaries. However, both artists resisted the fixed gender identities and binary visual frameworks inherent in modernist subjectivity, inscribing the fluid and pluralistic differences of femininity into the signifying network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distinctive ways. Krasner produced diverse paintings rejecting ‘single signature image’ and creative collage works disrupting homogeneous modernist picture plane. Frankenthaler making her name with her ‘soak-stain’ technique and engaged with the picture surface actively as a working body. This study re-reads their works as recorded in modernist art historical narratives while enlightening their representations of feminine difference via French feminism influenced by Jacques Lacan’s theory of the subject post-1968. It thereby proposes that the ‘feminine inscription’ within their painterly language resonates with the avant-garde concept of ‘écriture féminine’ articulated in French feminist philosophy, thus establishing a critical dialogue between the tw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