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Deconstructive reading of Makoto Shinkai's : Stories of things that cannot meet without their nam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03
25P 미리보기
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lt;너의 이름은. 君の名は.&gt; :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50호 / 75 ~ 99페이지
    · 저자명 : 안윤경, 김현석

    초록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1인 제작 시스템과 ‘빛의 작가’ 로 주목 받으며 등장했으나 그의 2016년 개봉작 <너의 이름은.>은 그러한 기존의 그의 작품을 특징지은 요소들로부터 상당부분 스스로 탈피한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일본 전통적 인연설인 무스비 테제의 결합으로 내러티브의 풍부함과 열린 해석 가능성의 매력으로 흥행은 물론 앞으로의 작품에 대한 기대감까지 한껏 고조시켰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 ‘이름’에 관한 일본 고대 언어관과 현대 언어관의 만남이 나타나며 온전한 ‘만남’ 을 위해 이름(언어)의 역할이 사건 속에서 다양한 변주로 반복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작품에서는 인물들도, 사물들도 접촉하는 주체의 뜻에 따라 그 기의가 유사성의 은유적 역할로 해석이 확장, 유보된다. 기표와 기의라는 구조를 통해 분석된 말과 사물의 관계는 소쉬르를 통해 나타난 현대의 획기적인 사상적 발견이다. 데리다는 소쉬르의 이 개념에서 사물을 비로소 존재하게 하는 ‘차이’ 에 주목하며, 로고스의 명령에 충실해 온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를 해체한다. 이처럼 서구 형이상학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원리가 해체된 이후 대두되게 된 것은 중심의 해체, 주체의 해체이다. 데리다는 이처럼 해체주의를 표방하며 그 동안의 이성 중심주의에 의해 배제되어왔던 수많은 약소자들 및 타자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타자들의 부름에 응답하고 그들을 환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데리다의 ‘해체’개념은 언어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출발점으로 하는 철학적 전략이다. 그가 텍스트를 읽는 방법적 개념으로 등장시킨 은유인 ‘산종(dissemination, 散種)’은 해석 실천(혹은 유희의 방법)으로 작용하며, 어떤 종국적인 해석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의 ‘결정 불가능성’은 그 출발은 무한성이 아니지만 귀결되는 종착지는 무한성이다. 연구자는 인간이 언어의 주체가 아닌 언어의 사용자의 입장이기에, 데리다 역시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사물의 세계를 열린 텍스트로 해석함으로써 우리 역시 세계의 해석자가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언했다고 파악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의 프레임을 통해 사물과 이름의 이야기, 이름을 통한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는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또한 기표와 기의의 구조가 이 작품 속에서,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제고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 개념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말과 사물의 관계를 살펴보며, 기표와 기의로 세계를 파악하는 우리 역시도 곧 기표와 기의의 일부에 다름없음을 확인한다.

    영어초록

    Makoto Shinkai, an animated film maker in Japan, has been featured as a one-person production system and as a ‘writer of light’, but his 2016 release of "Your Name" was a departure from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his existing works. At the same time,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musubi(むすび) story, ending these, it was a big hit due to its rich narratives and attraction of open interpretation possibility. As it can be guessed from the title of this work, this work shows the encounter between the Japanese ancient language and the modern language in relation to the 'name', and presents the image that the role of the name(language) is repeatedly emphasized with various variations in events for the perfect 'encounter'. In this work, the interpretations of Signifié for characters and objects are extended and reserved as a metaphorical role of the similarity,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ich they touch.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e of Signifiant and Signifié is an epoch-making ideological discovery of modern times revealed through F. Saussure.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this and that from the notion of Saussure, Derrida dismissed logocentrism, rationalism that fully obeyed the order of Logos. Likewise, dismissing the center, or dismissing the owner had emerged after the exclusive and closed principle of metaphysics in the west was dismissed. Derrida’s definition of ‘deconstruction’ is a philosophical strategy that starts with the insight on the nature of language. ‘Dissemination,’ a metaphor that he used a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read texts acts as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r play), but does not pursue an ultimate interpretation. His ‘undecidability’ does not start with infinity, but ends with infinity. The researcher testifies himself and identifies that we can’t be an interpreter of the world because we, as a human are not the subject of language but a user. Derrida also interpreted the world of things composed of Signifiant and Signifié as open tex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read Makoto’s works telling about the meeting of a thing and a thing with name as a guide, based on Derrida’s frame of ‘deconstruction’ and ‘dissemination.’ This study intends to re-consider which relationship the Signifiant and Signifié have with human beings who live in modern tim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presented in this work through Jacques Derrida's destruction and dissemination concepts, and recognize that we are merely a part of Signifiant and Signifié.
    Just as Taki and Mitsuha confirm the existence by asking each other, we are in the world of things, expecting musubi that a world of names calls 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