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한국 공포영화의 대항문화적 상상력 -<수절>(1973), <묘녀>(1974), <너 또한 별이 되어>(1975)를 중심으로- (The Counter-Cultural Imagination of the Korean Horror Films in the 1970s -with focus on Fidelity(Sujeol)(1973), Myonyeo(A Cat Woman)(1974), You Become a Star, too (Neo ttohan byeol-i doe-eo)(1975)-)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2.02
32P 미리보기
1970년대 한국 공포영화의 대항문화적 상상력 -&lt;수절&gt;(1973), &lt;묘녀&gt;(1974), &lt;너 또한 별이 되어&gt;(1975)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6권 / 1호 / 305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중반에 개봉된 세 편의 공포영화가 보여 준 대항문화적 이 글에서 쓰는 ‘대항문화’는 1970년대 정권의 검열과 억압정책에 대응하여 체제의 압박에 순응하지 않고 그에 저항하는 비판적 의식이나 행위를 암묵적으로 함축하는 문화적 경향을 일컫는다. 본고에서 다루는 세 영화가 실험하는 이질적인 상상력은 정권이 강제하는 지배문화에 대한 문화적 응전의 의미를 함축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공포영화의 문법 속에서 개발했다. 그러나 이 응전의 의미는 표면적으로는 정권의 압력과 심각한 마찰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은밀하고 미시적으로 작동한다. 그런 점에서 지배문화에 대응하여 그에 맞서는 저항적 의미를 함축하지만, 저항의식을 표면적으로 노출하고 집단적, 정치적으로 공유하는 저항문화와는 구분된다는 점에서 ‘대항문화’로 명명했다.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하길종의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 홍파의 에로티시즘, 이장호의 낭만적 청년문화의 전유는 모두 급박해져가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긴밀한 문화적 반응을 함축했다. 하길종의 <수절>은 자국 문화에 대한 열등의식을 보완하고 민족에 대한 애착을 국가에 대한 애착으로 연계하려했던 지배 담론의 민족주의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당대 문화에서 보편적 선으로 인식되었던 ‘민족’이라는 당위적 감각을 전복했던 이 영화는 집단적 이념이란 정황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인간의 이해관계 속에 서로가 서로에게 폭력을 가하는 대립과 반목의 매개물에 다름 아님을 알레고리로 역설했다. 홍파의 <묘녀>는 근대성의 이데올로기 속에 올바르게 상징화되지 못한 토속적 삶의 기억과 인간의 본질을 설명하는 실재에 대한 욕망이 겹쳐지는 접점에서 에로티시즘을 묘파했다. 욕망하고 유혹하는 여성 섹슈얼리티의 극한을 파고들어가려 했던 이 영화의 에로티시즘적 상상력은 근대인의 내적 상처를 전근대적 주술성과 결합하여 노출함으로써 기형적인 문화가 내장한 증상의 하나를 통해 체제의 불완전성을 들추어냈다.
    이와 달리, 이장호의 <너 또한 별이 되어>는 자본주의적 경쟁과 정치적 통제의 사회를 살아가야 했던 당대 현실에서 청년들이 꿈꾸었던 낭만적인 판타지를 공포 서사에 도입했다. 물질주의적인 통제 사회 너머에 대한 낭만적 소망과 판타지를 반영하고 있는 이 영화는 폭력 위에 구축된 성장의 현실을 유지하기 위해 희생자(여귀)의 재귀를 막는 엑소시즘의 형태로 오컬트를 활용한다. 오컬트의 이 같은 한국화는 죽음의 세계를 미화하고 고통에 빠진 영혼으로 하여금 현실을 수용하도록 설득함으로써 계몽의 언술과 접속한다. 그러나 살아남은 자의 무력감과 현실의 불완전성을 노출하는 낭만적 판타지의 여운은 지워지지 않는 불안과 동요의 의식을 센티멘탈한 감성으로 환치함으로써 우울과 좌절의 감성을 동반하는 의식적 저항성을 유지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counter-cultural imagination of three horror films released in the mid-1970s, Fidelity(Sujeol)(1973) directed by Ha Giljong, Myonyeo(A Cat Woman)(1974) by Hong Pa, and You Become a Star, too (Neo ttohan byeol-i doe-eo)(1975) by Lee Jang-ho.
    Fidelity(Sujeol) resisted the legitimate notion of nationalism of the period allegorically, By thoroughly focusing on the other side of the heroic narrative conveyed by a female ghost, this work emphasized that collective ideology was nothing more than a medium of confrontation and antagonism that inflicted violence on each other in the interests of people who were united and gather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ir circumstances. Hongpa's Myonyeo(A Cat Woman) revealed the self-destructive inner world of modern man subjects who were engulfed in the fear of castration by expressing the doll-like life of a man possessed by a female monster with excessive sexual desire. While expressing this distorted inner world, the film reflected the Korean reality that could not rightfully symbolize the transition from the pre-modern to the modern through the motif of witchcraft to kill a cat.
    You Become a Star, too directed by Lee Jang-ho was produced based on the fashion of the occult culture that was popular around the world at the time. In this film, occultism connec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enlightenment by glorifying the world of death and persuading the girl’s ghost in pain to accept reality. However, the afterglow of romantic fantasy, which exposed the imperfection of modernized society, maintained the impression of resistance that accompanied the emotions of depression and frustration by replacing the indelible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agitation with sentimental sensibility.
    The three films creatively expended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of horror film based on different imaginative foundations such as trans-nationalism, eroticism, and romantic youth culture of the 1970s. By depicting the traditional female ghost motif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three films implicitly disobeyed the violence of the oppressive growth policy of the military regime and implied a counter-cultural will to resist the ideology imposed by the closed politic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