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린 너네랑 서 있는 위치가 달라”: 중학생‘노는 남자애들’간 갈등의 계급적 의미 (“We belong to different positions”: Class Distinction in Middle Schoo“l Popular Boys”)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5.11
57P 미리보기
“우린 너네랑 서 있는 위치가 달라”: 중학생‘노는 남자애들’간 갈등의 계급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48권 / 3호 / 105 ~ 161페이지
    · 저자명 : 선소영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노는 남자애들’집단 내부에서 발생한 친구관계에서의 갈등의 계급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중대형 민영아파트단지(C단지)와 소형주공 및영구임대아파트단지(A·B단지)의 아이들이 모이는 (나) 중학교의 3학년생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중학생들은 친구관계가 펼쳐지는 사회적 공간 속에서 반학교문화 가치를 중심으로 서로를“노는 애,”“평범한 애‘찌질이’로 분류하는데, 이 위계 속에서‘노는 남자애들’은 최고의 위세를 누리는 집단이다. 그러나 성적이 중요한 가치로 부각되는 진로선택의 시점에 이들의 위치감각은 수정된다.
    ‘노는 남자애들’집단 내에서도 부모의 앞선 진로지도 및 관리로 인해 좋은 성적을 보유한 C단지 아이들은 친구관계와 성적이라는 모든 측면에서의 승자라는 자신감을 드러내며 자신들을 나머지 애들과 적극적으로 구별지음으로써 집단 내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반면, 성적이 좋지 않은 A·B단지 아이들은 급격한 위치감각의 하락을 경험하며 함께어울렸음에도 좋은 성적을 보유한 C단지 아이들에 대해 계급적 상처로서의 열등감을내면화하게 된다. 이처럼 위치감각은 친구관계에서의 위계에 따른 감각인 동시에 단지로 대별되는 계급적 조건에 따른 감각이기도 하며, 이 둘은 아이들에게 분리된 채 감각되기보다는 서로 얽힌 채 감각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총체적인 위치감각에 대한 탐구가 계급과 다른 변수들이 맺는 관계를 드러내는 유용한 방법일 수 있음을 제안하는동시에, 진로지도의 시점을 앞당기고 적극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계급적 차이가 아이들의 관계 및 미래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지를 줄여나가야한다고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class differences expressed in middle school popular boys’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considers an apartment complex as residential space of different classes, and a middle school that was chosen as the field site as a place for students from different class background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social space of the peer relationship, the students develop a rigid hierarchy of peer acceptance, in which the most powerful group“, the popular boys,” seeks the value of school counter-culture and the members of the group keep company together. However, when they have to make a personal choice at the end of the semester regarding what kind of high school they will attend, the existing hierarchy comes to a crisis point because of a new emphasis on academic grades.
    With this crisis“, the popular boys,”group is torn apart by strife into two sub-groups; one is the“ middle class boys”who get good grades, and the other is“ working class boys”who do not. Their difference in academic grades is actually caused by class difference and cultural capital imparted through different parenting practices, but in the absence of class discourse it is only understood as either a“ personal”victory or failure. The middle class boys, considered“ perfect winners”in both standards (peer popularity and academic grades), internalize a strong sense of self-confidence and use it as psychological capital for the future; hence, the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others by saying “we belong to different positions.”On the other hand, the working class boys internalize a feeling of inferiority as a hidden injury of class, and this psychological burden is regarded only as a personal m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