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괴기에서 넌센스까지 : 1920년대 취미독물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재현 양상 ― 별건곤을 중심으로 ― (From "grotesqueness" to "nonsense": Review of the 1920's hobby reading text and female characteristics in Byolgeong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5.12
21P 미리보기
괴기에서 넌센스까지 : 1920년대 취미독물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재현 양상 ― 별건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14호 / 175 ~ 195페이지
    · 저자명 : 박숙자

    초록

    이 글에서는 1920년대 근대 문화의 수용 과정에서 드러난 성별화된 인식을 ‘奇’와 ‘怪’의 수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1920년대 별건곤에서는 낯설고 이질적인 근대문화를 알 수 있거나 설명할 수 있는 사실로 다시 쓰기 시작한다. 과학의 권위를 빌리기도 하고, 수치화통계화하기도 하고, 혹은 전근대의 가치관과 비교하기도 하면서 ‘奇’와 ‘怪’의 수사로 포착된 ‘불가해한 현실’을 ‘알 수 있는 현실’로 번역한다. 그런데 이같은 태도들이 여성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기이하고 낯선 풍경으로서의 신식 여성을 어떻게 의미화할 것인가 하는 물음이 ‘괴미인’을 통해 드러나는데, 여기에서 묘사된 여성들은 주목의 대상이 되기는 하되 ‘알 수 없는 대상’으로 의미화되면서 오히려 불가해의 기호로 남게 된다. 특정한 가치 판단을 통해 여성을 부정하거나 혐오하는 게 아니라, 불가해한 기호로 재현됨으로써 넌센스의 기표로 재현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여성 인물은 시간성의 표지를 잃고 탈역사화되면서 통속의 기호로 쉽게 포섭된다.

    영어초록

    This recent research attempts to outline the strangeness and heterogeneity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modern cultures in the 1920s Korean modern literatures. Surprise, alertness, and curiosity which were inevitable in the influx of modern cultures were described through the rhetorics of KI(strange) and KUE(grotesque). These have been revealed, in one sense, in terms of the repulsive metaphor comparing the modern and premodern, and in the other sense, in the metaphor of the surprise and marvelousness. In this process, KI and KUE were used as the means of values judgement, not as the rhetorics of ambiguity. However, these rhetorics were used differently when they were applied to the values judgement of female characteristics. Modern women in the strange and outlandish environment were described as "the bizarre beauty"; those women were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absurdity as well as the target of attention. In other words, modern women were neither negated nor abhorred, but represented as the subject of "nonsense" which overwhelmed the mere values judgemen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dification of women in the mass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and snobb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