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릴레이셔널 홈을 통한 희망 형성 : 절망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상담과 돌봄 (Providing Hope through Relational Home :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Those in the Midst of Despair)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2.02
25P 미리보기
릴레이셔널 홈을 통한 희망 형성 : 절망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상담과 돌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8호 / 309 ~ 333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선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고 인구 감소와 저성장과 침체 속에서 미래를 낙관하지 못하는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에 대한 목회신학적인 응답을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미래가 더 나아지지 않으리라고 생각하며 절망하는 사람들에게 목회신학은 어떻게 희망을 형성하고 제시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목회신학 방법론에 따라 사례로부터 출발해서 이론적 성찰을 거쳐 희망 형성에 효과적인 요인들을 제안하려고 시도한다.
    이 연구는 먼저 절망에 처한 사람들의 상담 사례를 소개하고(II), 목회상담과 돌봄 상황에서 희망의 의미를 고찰한 목회신학자 도널드 캡스(Donald Capps)와 앤드류 레스터(Andrew D. Lester)의 연구를 개관한다(III). 이어서 캡스와 랩스터는 인간 실존의 트라우마 차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고 비판하고, 셸리 램보(Shelly Rambo)의 트라우마 신학에 기초하여 트라우마 경험의 시간성을 고찰한다(IV).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램보가 치유와 변화를 언급하는 데에는 소극적이라고 비판하고, 램보의 중간 담론을 받아들이면서도 릴레이셔널 홈을 통해 치유와 변화와 희망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앞의 사례들에 대한 성찰을 통해 상담자의 버티고 머무는 현존, 기독교적 희망과 교회공동체, 다른 사람을 돕는 일에 참여 등이 희망을 불러일으킨 요인들이라고 묘사하고, 이 모든 변화와 치유와 희망 형성의 토대는 릴레이셔널 홈이라고 밝혔다(V).
    결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더욱 확대하여 예배와 설교와 교육 분야에서 기독교적 희망을 설교하고 가르치고 소통할 때에도 트라우마 차원과 램보의 죽음과 삶 사이의 공간에 대한 성찰이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제안하고, 앞으로 실천신학의 다른 영역에서도 절망적 상황에서 기독교적 희망의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기대를 표현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attempt to provide the pastoral theological response to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which do not hope for the future due to the depopulation, underdevelopment, and economic stagnation in the midst of prolonged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How can pastoral theology instill and awaken the hope of those who become plunged into despair in the midst of pessimistic thinking that the future will not be better? This study, with this awareness of problem, follows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 and starts from the three cases, going through theoretical reflection and identifying three effective factors for providing hope.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three cases of those in the midst of despair(II), then outlines the studies of Donald Capps and Andrew D. Lester which investigate meanings of hope in the context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III). After criticizing their failure to acknowledge the dimension of trauma in human existence, my study deals with temporality of the traumatic experience on the basis of Shelly Rambo’s theology of trauma(IV). Finally, this study, criticizing Rambo’s hesitancy in her reference to healing and transformation, argues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healing and transformation and hope through the relational home. Furthermore, through reflection on the three cases, it describes the enduring and remaining presence of the counselor, Christian hope and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and participation in helping others as three factors for awakening hope. It also asserts that the relational home provides the foundation of all these changes, healing and hope(V).
    In conclusion, enlarging the scope of discussion to the areas of worship, preaching, and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hat the dimension of trauma as well as Rambo’s reflection on the space between death and life may contribute to preaching, educating, and communicating the Christian hope. It finally expresses an expectation that other areas of practical theology will produce subsequent studies on meanings of the Christian hope in the midst of despa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