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파고’이후, 한국 TV 드라마의 AI(인공지능)에 대한 담론 - <너도 인간이니?>를 중심으로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Korean TV Dramas after ‘AlphaGo’)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4
25P 미리보기
‘알파고’이후, 한국 TV 드라마의 AI(인공지능)에 대한 담론 - &lt;너도 인간이니?&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50호 / 240 ~ 264페이지
    · 저자명 : 김강원

    초록

    2016년 3월, 이세돌 9단과 AI ‘알파고 리’의 대국은 그간 막연하게 인식 되던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의 존재를 한국사회에 실감하게 한 사건이었다. 이 글에서는 2016년, 한국사회가 AI의 존재를 실감하기 시작한 이후 등장한 AI를 제재로 한 한국 TV 드라마에 관심을 갖고자 한다.
    2016년의 알파고의 등장 이후 AI를 제재로 제작·방영된 공중파 TV 드라마 중에서도 특히 <너도 인간이니?>는 비슷한 주제로 방영되었던 작품들에 비해 높은 시청률과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고, 국내 최초로 기획된 AI 드라마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 글은 <너도 인간이니?>를 통해 알파고의 등장 이후, 한국의 TV 드라마가 비로소 AI를 인식하고 담론화하는 방식과 내용, 그 의미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너도 인간이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TV 드라마의 AI에 대한 담론은 크게 인간과 AI의 변별로서의 ‘몸’이 갖는 가치에 대한 문제, 그리고 욕망과 선택이라는 ‘정신’의 차원에서 변별 되는 자유의지의 문제가 핵심적이다. 반면 몸과 정신을 아우르는 모든 측면, 즉 AI의 존재에 대한 담론화 과정에서는 모순이 존재한다는 점에서는 문제적이다. 알파고 이후, AI의 존재를 실감한 대중이 이제 그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성찰하며,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너도 인간이니?>의 태도는 알파고 이전에 소비되던 AI에 대한 비과학적이고 낭만적인 담론을 반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퇴행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작품의 분석을 바탕으로 이러한 모순의 지점을 포착하고 이를 문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game of Go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Lee” in March 2016 was an incident that brought the exist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the attention of Korean society. Previously, awareness of AI was very vague. This article focuses on TV dramas that feature AI which came out after Korean society began to realize the existence of AI in 2016.
    Following the advent of AlphaGo, TV dramas were produced and broadcast with AI themes. In particular, “Are You Human Too?” which began airing in 2018, was a work that earned high ratings and garnered broader public appeal than other comparable dramas. In this article, I study the way Korean TV dramas, specifically “Are You Human Too?” recognize and deal with AI.
    Two main discourses on AI in TV dramas are apparent in “Are You Human Too?” First, it is a matter of “body” as a variant of human and AI, and secondly, a matter of free will in relation to desire and choice. The problem is that contradictions exist in all aspects of the discourse process on AI, encompassing the body and spirit. After AlphaGo, it is now necessary for the public to fully accept AI, reflect on it and look to the future. Still, the attitude in “Are You Human too?” is regressive in that the unscientific and romantic discourse on AI, which was consumed before AlphaGo, is being repeated. Based on the analysis of “Are You Human Too?” this article captures and questions this point of contrad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