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놀이문화를 활용한 스트릿 댄스의 콘텐츠 확장 - 비보잉 넌버벌 퍼포먼스 <마리오네트>를 중심으로 - (Expansion of Street Dance Content using Traditional Korean Play Culture - Focusing on B-Boying Nonverbal Performance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2.02
13P 미리보기
한국 놀이문화를 활용한 스트릿 댄스의 콘텐츠 확장 - 비보잉 넌버벌 퍼포먼스 &lt;마리오네트&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6권 / 2호 / 105 ~ 117페이지
    · 저자명 : 손시내, 박성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 스트릿 댄 스 중 비보잉 넌버벌 퍼포먼스 <마리오네트>를 한국 놀이문화와 비교해 콘텐츠 확장의 가능성을 살펴보 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 놀이문화가 차용된 대중공연에 한국 놀이 활 용의 형태를 살펴보고, <마리오네트>를 한국 놀이문 화의 구성 및 특징과 비교했다. 기존에 대중 공연에 서 한국 놀이는 의상, 소품, 동작과 같이 시각적 활 용이 주를 이루었다. <마리오네트>에서는 한국 놀이 문화의 정서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서사와 독특한 관 계 구조, 각 놀이별 특징이 복합적인 유사성을 띠는 인물 표현을 확인했다.
    본론에서는 작품과 한국 놀이문화 관련 문헌 및 비디오 녹화 자료, 서면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특 징을 비교했다. 서사 구조에 나타난‘풀이’적 전 개,‘신명’을 통한 갈등 해소는 한국 놀이문화의 흐 름과도 유사하며, <살판>과 같은 대결 구조는 작품에 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캐릭터를 강조하는 기 능을 했다. 인물 관점으로는 인형사와 꼭두각시놀음 의 박첨지의 역할 유사성, 가면과 탈놀이의 상징적 역할, 로봇과 사자춤의 유사한 시연 구조와 상징성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캐릭터 해석의 시각 변화, 콘셉 트/오브제 활용의 확장, 외형적 특징이 각각 내포하 는 의미와 역할을 활용하여 표현 방식을 다각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놀이문화를 활용한 스트릿 댄스 콘텐츠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방안을 모색했다. 한국 스트릿 댄스의 발전을 학문적·학술적 가치로 환원하기 위해 지속적인 콘텐츠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following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expansion of rapidly emerging Korean street dance cont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B-boying nonverbal performance piece <Marionette> and traditional Korean play culture. Traditionally, in public performances, Korean plays primarily emphasized visual aspects such as costumes, props, and movements. We discovered that <Marionette> consists of a story narrative that is riddled with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lay culture; a unique relationship structure; and character expression between each play that shares complex similarities. In the main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piece were compared primarily with literature, video recorded data, and written interview data in relation to Korean play culture. Conflict resolution through Puri (“solving”) and Shinmyung (“high spirits”) in the narrative structure is similar to the flow of Korean play culture, while the confrontation structure, similar to <Salpan>, served to provide various spectacles and to emphasize the characters within the performance piece. From the characters’ perspectiv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puppeteer and the role of Park Cheom-ji in <Kkokdugakshi>, the symbolic role of masks and Talnori, and the symbolism and demonstrational structure of the dance between the robot and lion are revealed as distinc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character interpretation and expansion in use of concepts/object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iversifying expression methods by utilizing the meaning and role of each external feature.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on street dance content using Korean play culture and sought methods to do so. Continuous content research is needed to retur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reet dance to academic and scientific val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