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에 수입된 중국 영화의 포스터 디자인 연구 - <소년시절의 너>와 <패왕별희>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esign of Posters of Chinese Films Introduced by Korea - Taking Better Days and Farewell My Concubine as Examples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5
22P 미리보기
한국에 수입된 중국 영화의 포스터 디자인 연구 - &lt;소년시절의 너&gt;와 &lt;패왕별희&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22권 / 2호 / 201 ~ 222페이지
    · 저자명 : 설가녕, 양종훈, 이상은

    초록

    영화 포스터는 영화의 중요한 그래픽 시각 홍보 수단으로 이미지, 문자, 색채 등 기호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영화의 예술 이념과 내재적 의미 전달에 사용되는 메타 시각적 이미지이다. 1990년대 Kress와 Leeuwen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회 기호학적 프레임을 구축하여 메타 담론 분석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분석 방법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영화 포스터의 메타 담론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한국은 2020년 중국 영화 <소년시절의 너>와 재개봉된 영화 <패왕별희>가 상영되었고, 상영과 함께 영화의 포스터를 새롭게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Kress와 Leeuwen의 메타 담론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두 영화의 한국판 포스터에 구현된 재현적 의미, 상호작용적 의미와 구성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두 한국판 포스터의 디자인 특징을 요약하였다. 즉, 한국판 포스터는 대부분 배우를 중심으로 하는 스타 마케팅을 통해 관객의 관심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내재적 정서를 적절히 이용하고, 표정을 통한 감정 전달이 매우 뛰어나다. 한국판 포스터는 어떤 순간에 대한 표현을 중시하기 때문에 항상 대표적인 장면을 활용하여 포스터를 디자인한다. 그 이외 한국판 포스터 디자인은 미감을 추구하고, 화면이 깨끗하고 로고가 주체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핸드 폰트체를 흔히 사용한다. 그중 영화 <소년시절의 너>의 한국판 포스터는 한국인의 심미 특징에 적절히 부합하여 화면이 아름답고 낭만적이지만 영화 자체의 내용과 의미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았으며, 또한 영화 <패왕별희>의 한국판 포스터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성공적이며, 장국영이 분한 청뎨의(程蝶衣)를 중심으로 디자인하였고, <귀비취주(貴妃醉酒)>를 부르는 대표적인 순간을 선택하여 인물의 내면 정서를 부각시켰다. 결국 영화 포스터 디자인은 영화의 내용과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심미에 부합하는 창의를 통해 시대적 의미와 사회 문화의 의미를 담아야 한다.

    영어초록

    As an important means of graphic visual propaganda, a film poster integrates images, texts, colors and other code systems to express the artistic concept and inner meaning of the film, which is a meta visual image. In the 1990s, Kress and Leeuwen established a social semiotic framework for image analysis, which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and analytical method for meta discourse analysis and has made the meta discourse analysis of film posters possible. In 2020, Chinese film Better Days was shown in Korea and Farewell My Concubine was replayed once again. At the same time, posters of these two films were redesigned. The meta discourse analysis method of Kress and Leeuwen was adopted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meanings of Korean posters of the two films in terms of reproduction, interaction and composition. The design features of the two Korean posters were summed up as follows through research: most Korean posters are actor-centered, hoping to attract viewers through stars; Korean posters know how to express inner emotions and are good at using manner to express emotions; Korean posters focus on presenting a certain “moment”, pictures from classic scenes are often used to design posters; Korean posters pursue a sense of beauty, pictures are simple and clean. LOGOs don't affect the whole posters, and are mostly handwritten. As for the Korean poster for Better Days, attention is paid to aesthetics in Korea. The poster is beautiful and romantic, but it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film itself. The design of the Korean poster for Farewell My Concubine is relatively successful, which is centered on Cheng Dieyi played by Leslie Cheung. The classic moment of singing The Drunken Concubine is chosen to highlight the inner emotions of the character. Therefore, the design of film poster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content and meaning of films. In addition to complying with local aesthetics, film posters should also be innovative and endowed with connotations of the times and socio-cultural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