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미널 스페이스의 시각 인지와 선호에 관한 신경학적 연구 (A Neurological Study on Visual Perception and Preferences in Liminal Spac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6
12P 미리보기
리미널 스페이스의 시각 인지와 선호에 관한 신경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4호 / 143 ~ 154페이지
    · 저자명 : 서유화, 조택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인터넷 미학으로 등장한 리미널 스페이스 현상은 건축학에서 차용된 개념으로 인간의 존재가 없는 공간 유형을 지칭한다. 이 공간은 불안감을 유발하면서도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감정적 끌림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서 공유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리미널 스페이스의 문화적, 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실제 인간의 시각 인지 원리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리미널 스페이스의 시각적 특성과 시각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인류학 개념의 리미널리티가 건축학 및 온라인의 리미널 스페이스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둘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는 리미널 스페이스 이미지를 선정하고 이를 건축 공간과 자연환경의 속성으로 분류하여 시각적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시각 정보가 인지되는 신경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리미널 스페이스의 각 특성이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넷째, 특성별로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고 미드저니를 사용해 리미널 스페이스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선호도 조사를 시행한다. (결과) 조사 결과, 각 특성 이미지의 선호도와 사람 존재에 따른 선호도 변화는 유형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낮은 조도와 반복되는 구조, 소실점의 부재가 나타나는 공간 이미지는 낮은 선호를 보였다. 저조도 환경은 사람의 존재와 관계없이 선호를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사람의 존재는 구조의 반복과 소실점의 부재, 공간 단서의 결여가 나타나는 환경에서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물리적 왜곡의 이미지는 인간 형상이 추가될 때 선호도가 감소하였고, 응답자에 따라 선호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리미널 스페이스가 가지는 특성과 시각 인지의 신경학적 원리에 관해 탐구하였다. 그러나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다양성과 물리적 공간 경험과 이미지 간접 경험을 철저하게 고려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이미지가 설계 의도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에 대한 고려는 향후 연구에서 더 깊이 탐구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신경학적 원리에 기반한 디자인 분석은 앞으로 나타날 공간 유형들에 대한 이해에 다각적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phenomenon of liminal spaces, emerging within internet aesthetics, is derived from an architectural concept that designates spaces devoid of human presence. These spaces, while inducing feelings of unease, also generate emotional allure and foster online communities through shared images.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cultural and social aspects of liminal spaces. However, research on the actual neurological principles affecting human visual cognition is relatively scar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liminal spaces influence cognitive processes and modulate visual cognition, shedding light on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s that drive these perceptual experiences. (Method)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stages. Firstly, this study conducts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how the anthropological concept of liminality has transformed into the architectural and online concept of liminal spaces,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 to understand this progression. Secondly, it selects images of liminal spaces shared within online communities and categorizes them based on attributes of architectural and natural environments to analyze their visual characteristics. Thirdly, the study explor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liminal spaces can operate based on the neurological principles of visual information perception. Fourthly, the study extracts key keyword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liminal spaces, reconstructs images using MidJourney based on these keywords, and conducts a preference survey to assess their impact on viewer perceptions. (Results) The survey revealed that preferences for images of liminal spaces and changes in preferences based on the presence of humans vary by type. Images depicting low light, repetitive structures, and the absence of vanishing points showed low preference levels. Environments with low lighting were particularly impactful in diminishing preference, demonstrating that this feature significantly detracts from the appeal of the space, irrespective of human presence. Conversely, the presence of humans increased preferences in environments with repetitive structures, absence of vanishing points, and lack of spatial cues. Images with physical distortions showed a decrease in preference when human figures were added, and preference levels varied significantly among respondents.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liminal spaces and the neurological principles of visual cognition. However, the study acknowledges limitations in fully addressing the variety of environmental elements that influence spatial cognition and the nuanced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ing physical spaces and viewing their images. Additionally, the potential for AI-generated images to not fully reflect design intentions requires deeper exploration in future research. The design analysis based on neurological principles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on the understanding of emerging spatial typ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