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레히트의 산문 『코이너씨의 이야기』에 나타난 게스투스 분석 (Gestusanalyse in der Prosa Brechts, Geschichten von Herrn Keuner)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08
20P 미리보기
브레히트의 산문 『코이너씨의 이야기』에 나타난 게스투스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31호 / 37 ~ 56페이지
    · 저자명 : 김길웅

    초록

    브레히트의 중기 문학에서 “위기를 향한 압박”이 전략이라면, 이를 실현할 전술은 “게스투스의 인용”과 “변증법”이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코이너씨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가 가능한 이론적 토대를 벤야민에서 찾을 수 있다. 허무주의적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력주의에 노출되었던 초기의 작품 경향과 결별하고, 1926년 무렵 브레히트가 새롭게 시도했던 문학의 기능변화를 이론적으로 가장 세련되게 분석했던 문예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이 벤야민이었다. 독일 문학에서 작가와 그 작가를 뒷받침하는 이론이라는 틀로 볼 때, 토마스 만과 루카치의 관계 못지 않게, 문학과 그 문학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벤야민의 브레히트론은 주로 브레히트에 관한 시론에 실려 있는데, 이 글에서 벤야민은 브레히트의 서사극을 “게스투스적인 연극”으로 규정하고, 서사극에서 게스투스는 “확정지을 수 있는 시작과 확정지을 수 있는 끝”을 지니는 형태로 인용되고 있고, 이것이 서사극을 부분과 부분의 몽타쥬와 같은 효과를 내게 만든다고 주장한 바 있다. 마치 독립성을 갖춘 다양한 부분적인 사건들이 커다란 화폭(Tableau)에 배열되듯이, 서사극도 인용된 다양한 부분들을 관객들이 서로 비교해서 의미를 추론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벤야민은 서사극 형식의 본질을 몽타쥬로 파악한 것이다. 예를 들면 화가 난 엄마가 딸을 향해 물건을 집어던지려 하고, 딸은 무서워 이를 피하려 하며, 아버지는 막 창문을 열고 경찰을 부르려 하는 순간, 낯선 사람이 등장하여 엄마와 딸 그리고 아버지의 행동이 중단되고, 겉으로 보기에는 서로 독립적인 장면만이 남게 되는데, 이 세 가지의 장면을 통해 낯선 사람은 그 의미를 서로 추적하게 된다. 흐름이 중단된 사건들은 겉으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마치 몽타쥬처럼 보이지만, 관찰자는 여기에서 벌어지는 의미들을 추적하여, 사건들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서사극이 이러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것이 벤야민의 설명이었다. 서사극에는 다양한 게스투스들이 인용의 형태로 전개됨으로써, 극의 흐름이 중단되고, 이러한 형태는 마치 영화처럼 서사극을 몽타쥬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대체로 벤야민이 바라본 서사극의 구조였던 셈이다. 서사극을 이해하는 벤야민의 입장, 다시 말하면 게스투스의 인용과 중단이라는 범주는 이 작가의 산문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학습극이 그렇듯이 그의 산문집 코이너씨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하나의 아름다운 산문이면서 동시에 게스투스를 훈련하고 변증법적 사고를 익히는 텍스트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Der Darstellung von W. Benjamin zufolge ist das epische Theater ein Versuch, den Gestus zitierbar zu machen, der einen definierbaren Anfang und ein definierbares Ende hat. Die montagehafte Bauart des epischen Theaters ermöglicht, verschiedene wohl umgrenzte Teile der Handlung miteinander zu vergleichen, woraus die dialektische Struktur entsteht. Das Gestische heißt nämlich das Dialektische. Die Basisregel des Lehrstücks als besonderer Form des epischen Theaters, die von R. Steinweg ausgeführt wurde, liegt darin, dass das Lehrstück dadurch lehrt, dass es gespielt wird, nicht dadurch, dass es gesehen wird. Die Spieler des Lehrstücks spielen nicht für das Publikum, sondern für sich selber. Die dialektische Struktur und das gestische Prinzip lassen sich nicht nur auf das Lehrstück, sondern auch auf die gestische Prosa anwenden, die in der mittleren Schaffensperiode geschrieben wurde. In dieser Arbeit wird anhand des kleinen Werks Erfolg eine modellhafte Gestusanalyse vorgenom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후